5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등에 따르면 인수위는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의 1위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차세대 배터리 로드맵을 재수립하고 있다. 민관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려던 차세대 배터리 관련 R&D도 민간이 주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배터리 관련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자국 위주인 중국을 제외한 세계 79개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373220)·삼성SDI(006400)·SK온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각각 36.5%, 8.9%, 11.1%로 과반을 차지했다. 중국을 포함하더라도 이들 3사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30.4%에 달했다.
앞서 지난 3일 인수위는 국정과제를 발표하면서 배터리를 비롯한 국가첨단산업 성장기반을 마련하고자 생태계·R&D·국제협력 등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인재 양성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국정과제 발표 당시 새 정부의 초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인 이창양 인수위 경제2분과 간사는 “첨단산업에 대해 인력 지원, 투자 세액공제 등 종합적 정책이 동원될 것”이라며 “업계와 긴밀하게 협의해 문제를 빠르게 푸는 민관 협력 정책을 펼치려 한다”고 말했다.
차세대 배터리 로드맵은 현재 기초 연구를 관할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책임지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해 발표된 ‘K배터리 산업 발전 전략’에 언급된 전고체·리튬황·리튬금속 배터리는 물론 이보다 더 넓은 범위, 새로운 기술까지 포함할지를 두고 검토하고 있다.
차세대 배터리 R&D는 정부가 아닌 민간 주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K배터리 발전전략에서 차세대 배터리를 조기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민관 역량을 결집하기로 한 바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2027년, 리튬황 배터리 2025년, 리튬금속 배터리는 2028년 상용화하는 것이 애초 계획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기업이 이미 세계 배터리 시장을 이끄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책과제를 주도적으로 추진하기보다 각 배터리 기업이 추구하는 특화 기술 개발이 가속화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와 인력 양성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한 때”라며 민간 주도 방식의 R&D를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방향이기도 하다.
새 정부의 배터리 로드맵이 구체화하면 각 기업의 차세대 배터리 개발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니켈과 리튬 등 주요 배터리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에 대한 요구가 더 커지고 있고, 중국 기업과 경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빠른 차세대 배터리 기술 확보가 앞으로 경쟁력이 되리라는 판단이 나온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국내 배터리3사는 모두 미래 기술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의 개발·상용화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황 배터리 등을, 삼성SDI는 값비싼 광물인 코발트를 제외하고 망간 비중을 높인 NMX 배터리 등을 각각 개발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