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외교부는 6일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우선 배상금을 지급하고 이후 징용 관련 일본 기업에 기부 등을 받자는 ‘제3자 변제안(案)’을 제시했다. 신일본제철, 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 기업에 배상 책임을 물은 2018년 대법원 판결의 대안이다. 이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한일관계를 건전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화답했다.
두 사람은 “합의를 기반으로 한·미·일 3자 협력을 가속화하고 북한·중국·러시아 등에 강력한 메시지를 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미국은 한국을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 등 인도·태평양 4개국 안보 협의체)의 인프라, 기후변화, 신기술 분야 실무그룹에 초청해야 한다”고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호평도 나왔다. 수 미 테리 우드로윌슨센터 국장과 맥스 부트 칼럼니스트는 7일 워싱턴포스트 기고에서 “윤 대통령은 한·일 간 오랜 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감한 발걸음을 내디디며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두 사람은 북핵 개발과 중국의 위협,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한·일 관계를 개선할 이유로 꼽한다. 이들은 “윤 대통령이 성공한다면 그는 한국 정치에서 용기 있는 인물로 자리매김하고 그간 걱정스럽던 한·일 관계에 희망찬 새 장을 쓸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