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전자기술연구원, 디엔솔루션즈 등 4개사 AI 자율제조 프로젝트 협업
  • 전자기술연구원, 디엔솔루션즈 등 4개사 AI 자율제조 프로젝트 협업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디엔솔루션즈를 비롯한 4개 기업과 함께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연구개발(R&D)에 나선다.신희동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왼쪽 6번째)을 비롯한 관계자가 2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전자·기계·자동차 분과 사업 출범식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KETI)KETI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8일 개최한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협약식에서 이들 4개 기업과 프로젝트 추진에 필요한 R&D 사업 출범식을 열었다고 29일 밝혔다.산업부는 전날 출범식에서 총 26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4년간 19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제조업에 AI 기술을 접목해 기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인구감소와 탄소감축 같은 난제를 해결하자는 취지다. 정부는 2027년까지 총 200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지원하고, 미참여 기업으로 이를 확산할 계획이다.산업부 산하 생산기술 연구기관인 KETI 역시 이 프로젝트의 전자·기계·자동차 분야 간사기관이자 기술지원 기관으로서 참여 기업의 프로젝트 추진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KETI는 앞으로 △㈜디엔솔루션즈 △대덕전자㈜ △㈜DH글로벌 △㈜팜조아 4개 기업과 함께 해당 기업의 AI 자율제조 공장 구축에 필요한 공동 R&D를 수행한다. AI를 활용해 설비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실시간 공정을 최적화하거나 AI 실시간 감지로 불량 탐지율을 높이는 등 각 회사의 목표에 따라 이에 필요한 R&D를 진행한다.신희동 KETI 원장은 “앞으로 전자, 기계, 식품, 자동차 등 분야별 데이터를 확보해 업종별로 활용 가능한 제조 특화 공통 AI 모델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며 “자체적으로 AI 기술을 도입하기 어려운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클라우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도 조기에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2024.10.29 I 김형욱 기자
전기협회, 내달 6일 광주서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포럼 개최
  • 전기협회, 내달 6일 광주서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포럼 개최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대한전기협회는 국내 최대 연례 에너지 박람회 ‘빅스포(BIXPO) 2024’가 개막하는 오는 11월6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C310호)에서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제37차 전력정책포럼을 연다.대한전기협회가 내달 6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는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 정책포럼 포스터. (사진=전기협회)에너지 전문가 및 산업계가 청정수소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중립을 목표를 내걸었고, 이에 따라 기존 핵심 에너지원인 석유·가스 등 탄소 기반의 에너지를 원자력이나 태양광·풍력 등 무탄소 에너지(CFE)로 대체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청정수소도 대표적인 미래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생산과 수송, 저장, 사용에 이르는 청정수소 생태계 전 과정에 필요한 상용 기술이 개발 중이거나 아직 활성화하지 않았으나, 일단 상용 기술이 나온다면 저장이 어려운 전기 등의 단점까지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초기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수소차 및 수소충전 인프라 보급 확대와 함께 화력발전소에 석탄·가스 등 기존 연료와 함께 암모니아·수소를 섞어 태우는 혼소 발전 실증을 진행 중이다. 암모니아(NH3)는 수소(H)와의 변환이 쉬워 수소 생태계 운용 과정에서 운송·활용 등에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번 정책포럼에서 수소경제 활성화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또 황진택 제주대 교수를 좌장으로 전문가 토론도 펼쳐진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창종 고려대 연구위원, 박성욱 한국남부발전 부장, 김재갑 두산에너빌리티 상무, 정길성 한국자동차연구원 센터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한다.참석 희망자는 전기협회 홈페이지에 신청하면 된다. 사전 질문을 받아 현장에서 참가자들이 답변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전기협회 관계자는 “청정수소 기술 개발과 산업 생태계 조성의 중요성이 커지는 중”이라며 “이번 포럼에서 국내 청정수소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10.29 I 김형욱 기자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1호 팹 부지조성률 75%…“2027년 가동 이상無”
  •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1호 팹 부지조성률 75%…“2027년 가동 이상無”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SK하이닉스(000660)가 경기도 용인 일반산업단지에 만들고 있는 1호 반도체 생산시설(1호 팹) 부지 조성률이 75% 이상 진행됐다. 내년 초 착공해 2027년 가동한다는 기존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이 29일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열린 특화단지 범부처 지원협의체 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산업부)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계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특화단지 범부처 지원협의체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현황을 공유했다.정부는 미래 첨단전략산업을 육성하고 국내 투자를 유도하고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등을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전국 12곳에서 분야·지역별 특화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참여 기업이 이곳에 600조원 이상을 투입해 생산·연구시설을 지으면 정부와 관계기관이 세제 혜택과 전력·용수 등 핵심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계획이다.이중 최대 규모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은 20여 년에 걸쳐 300조원 이상을 투입해 이곳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거점을 만든다. 정부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와 함께 이곳에 필요한 용수, 전력 등 핵심 인프라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SK하이닉스가 지난 2019년부터 용인 일반 산단에서 추진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도 이중 하나다. 산업부는 같은 해 이 사업 추진을 확정하고 3년여의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22년 4월 부지조성공사 및 인프라 구축에 착수했다. 한전은 이곳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구 공사를 내년 9월께 완공할 예정이다. 경기도와 다른 관계기관도 2027년 이곳 가동을 위한 전력·용수 공급을 준비한다.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또 삼성전자의 반도체 팹을 포함한 용인 반도체 특화단지의 차질 없는 조성을 위한 전력·용수 인프라 공급 계획을 점검하고 현안 및 대응방향도 논의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수자원공사와 함께 이곳에 필요한 용수 공급을 위한 통합 용수로 구축 사업을 최근 확정한 바 있다.이들은 또 나머지 11개 특화단지에 대해서도 기업 투자에 맞춘 핵심 인프라 공급 계획을 논의했다. 정부는 원활한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지난 2년간 총 1400억원을 투입했다. 한전, 수자원공사 등 공공기관도 10조원 이상의 투자계획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올 8월 새로이 국가첨단전략 특화단지로 지정된 바이오 특화단지 5곳에 대해서도 최근 추진단 구성을 마치고 기반시설 구축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이날 회의를 주재한 박성택 산업부 제1차관은 “관계부처·지자체는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성공 운영으로 우리 기업이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도록 전방위로 지원하겠다”며 “이를 위해 신속한 인·허가 처리와 함께 지역 주민과의 진심 담긴 소통으로 기반시설을 차질없이 공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9 I 김형욱 기자
정부, 바이오위원회 구성 본격 착수…“범국가 역량 총결집”
  • 정부, 바이오위원회 구성 본격 착수…“범국가 역량 총결집”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바이오 주요정책을 수립하는 범부처 기구인 국가바이오위원회 구성에 본격 착수했다.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3개 부처는 29일 국무회의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이 의결됨에 따라 위원회 구성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전 세계적으로 미래 핵심 유망산업으로 꼽히는 바이오 분야의 발전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역량을 모으자는 취지다. 정부는 앞선 올 4월 제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바이오 분야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고 합성생물학 핵심기술 확보 등 바이오 산업의 기반도 확충키로 했다. 또 이 같은 정책을 복지부·과기부·산업부 등 관계부처가 함께 추진한다는 취지에서 위원회를 구성키로 한 것이다. 미국도 최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와 상무부, 국방부를 공동 의장으로 하는 국가 바이오경제위원회를 출범한 바 있다.위원회는 출범 후 범부처 최고위 거버넌스로서 보건·의료나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비전·전략을 제시하고, 다양한 정책을 논의·결정하게 된다.위원은 정부·민간위원을 포함 최대 40명으로 구성된다.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고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특허청, 질병관리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예산·규제를 아우르는 관계부처 장관(처·청장) 10명과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국가안보실 제3차장이 정부위원으로 참석한다. 대통령은 이와 함께 2년 임기의 민간위원을 위촉하고 이중 한 명을 부위원장으로 임명한다.위원회는 구성 후 바이오 관련 주요 정책·제도를 만들거나 바꾸는 역할을 한다. 연구개발을 비롯한 정부 사업을 만들고 민간과 공공 부문 협력체계 구축 역할도 한다. 위원회 산하에 민간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으로 이뤄진 지원단을 꾸려 실무를 맡는다.정부 관계자는 “위원회 구성을 신속히 마무리해 출범식 및 첫 회의를 열 것”이라며 “여러 부처에서 개별 진행 중인 바이오 관련 정책을 신속히 연계하는 등 바이오경제 전환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범국가 역량을 결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10.29 I 김형욱 기자
美, 내년부터 자국 첨단반도체·AI 대중 투자제한…“韓 영향 제한적”
  • 美, 내년부터 자국 첨단반도체·AI 대중 투자제한…“韓 영향 제한적”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미국이 내년부터 자국인 혹은 자국 기업의 첨단반도체, 인공지능(AI) 시스템, 양자정보통신 분야 대중국 투자를 제한한다.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만큼 한국에 끼치는 직접 영향은 없지만, 정부는 향후 우리 경제에 끼칠 직·간접 영향을 분석해 대응에 나선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29일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28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려국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미국인(미국기업) 투자 제한 행정규칙을 발표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8월 발동한 동 행정명령의 실질적인 이행을 위한 내용을 담은 것으로 내년 1월2일부터 시행된다.미국인 또는 미국 법인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우려국에 투자하는 행위가 우려국의 군사·정보·감시·사이버 역량을 강화해 미국 안보를 위협하는 걸 막자는 취지다. 미국인은 관련 투자에 앞서 이를 신고해야 하며 사안에 따라 투자가 금지될 수 있다. 행정규칙에 포함된 우려국은 현재 홍콩과 마카오를 포함한 중국뿐이어서 사실상 미국 기업의 대중국 첨단기술 투자를 제한한 조치로 해석할 수 있다.해당 조치는 미국 정부가 미국인이나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첨단기술 대(對)중국 투자를 제한한 것인 만큼 우리 경제에 끼치는 직접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다만, 중국과 미국이란 우리의 양대 교역국이 첨단기술 패권을 두고 벌이는 무역 전쟁 성격을 띤 조치인 만큼 간접 영향이 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특히 내달 5일(현지시간)엔 미국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중 누가 당선되더라도 대중국 공세는 강화하리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자국 우선주의’를 내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중국 공세에 더해 한국처럼 자국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큰 나라에 대해 관세 부과 등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할 가능성도 있다.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이번 조치가 우리 경제에 끼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지만 국내 업계와 전문가와 면밀히 소통해 우리 경제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9 I 김형욱 기자
산업부, 26개 AI 자율제조 프로젝트에 4년 1900억 지원
  • 산업부, 26개 AI 자율제조 프로젝트에 4년 1900억 지원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현대차(005380), GS칼텍스 등이 추진하는 26개 인공지능(AI) 자율제조 프로젝트를 선정해 4년간 1900억원을 지원한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앞줄 가운데)을 비롯한 관계자가 28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산업부)산업부는 28일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올해 추진할 26개 프로젝트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정부는 제조업에 AI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생산인구 감소와 탄소감축 같은 과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AI 자율제조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산업부는 원래 올해 10개 과제를 선정해 지원 후 그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었으나, 기업들이 213개 과제를 신청하는 등 높은 관심을 받으며 선정 프로젝트 수를 26개로 확대했다.대기업 9곳과 중소·중견기업 17개를 포함해 총 26개 기업의 프로젝트가 선정됐다. 현대차는 AI와 로봇을 활용해 자동차 생산 공장에 다품종 유연생산 시스템 구축기로 했다. GS칼텍스는 AI를 통해 원유 정제 공정을 실시간 분석·제어함으로써 수익성 극대화와 탄소 배출 저감을 꾀한다.코오롱(002020)은 섬유업계 숙련 기술자 구인난 속 AI를 활용한 공정 자동화를, 삼성중공업(010140)도 조선업 인력난 속 AI 기반의 가변 용접이 가능한 로봇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086520)와 대한항공(003490)은 AI를 활용해 품질 관리의 정밀성을 높이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산업부는 이 같은 26개 선도 프로젝트 참여 기업이 이를 위해 총 3조70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보고 해당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지방자치단체(지자체)와 함께 4년간 1900억원을 지원한다. 지자체의 지방비 매칭은 의무가 아니었으나, 각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모든 프로젝트에 지방비가 투입된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정부는 올해 26개 프로젝트 지원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총 200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해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조원 이상의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동시에 참여 기업의 생산성을 30% 이상 높인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20% 이상의 제조비용 절감과 50% 이상의 제품결함 감소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AI 자율제조를 산업 현장 구석구석에 확산하고 우리 제조업을 더 젊고 활기차게 만들겠다”며 “프로젝트 미참여 기업도 자체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보급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8 I 김형욱 기자
정부, 2035년 탄소감축 목표 수립 본격화…산업·에너지 부담 더 커질듯
  • 정부, 2035년 탄소감축 목표 수립 본격화…산업·에너지 부담 더 커질듯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2035년까지의 온실가스(탄소) 감축 목표를 담은 국가탄소중립감축목표(2035 NDC) 초안 연내 확정을 위해 막바지 의견 조율 작업에 착수했다. 2030년까지의 목표를 담은 2030 NDC 달성도 불투명한 가운데 2050년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 0) 달성을 위한 추가적인 탄소감축 수단을 더해야 하는 만큼 산업·에너지 부문의 부담도 더 커질 전망이다.남형기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탄녹위 사무처장·가운데)을 비롯한 산업·환경 전문가들이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2035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컨퍼런스에 앞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탄녹위)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는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2035 NDC 컨퍼런스를 열고 산업·환경 부문 전문가 의견 수렴을 진행했다.2035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전제로, 2035년까지의 탄소감축 목표를 새로이 설정하는 작업이다. 전 세계는 2016년 파리협약(COP21)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중립 추진을 공식화했다. 우리나라도 이에 따라 지난 2021년 국제사회에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고, 2018년 7억3000만톤(t)이던 탄소배출량을 2030년까지 4억4000만t으로 40% 줄인다는 중간 목표(2030 NDC)를 세웠다. 2035 NDC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전제한 만큼 2030 NDC보다 더 강화된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연내 초안을 내놓고 내년 3월 이전에 확정한다.산업·에너지업계의 탄소감축 부담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산업계는 이미 휘발유·경유를 쓰는 이동수단을 전동화하는 등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 구조를 무탄소 방식으로 바꿔나가고 있다. 석유·가스를 태우는 현 주된 발전 방식도 원자력이나 수소, 태양광·풍력 같은 무탄소에너지(CFE)로 대체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탄소배출량은 6억2000만t으로 2018년 대비 약 15% 줄이는 데 성공했다.정부가 2021년 수립한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2030 NDC) 개요. (표=환경부)그러나 2030 NDC 달성을 위해선 앞으로 7년간 25%, 약 1억8000만t를 더 줄여야 하지만 대부분 감축 수단이 아직 상용화 이전 단계여서 달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연간 약 1억t의 탄소를 배출하는 철강산업이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려면 수소환원 방식의 제철 기술을 적용해야 하지만 이 역시 상용화 이전 단계다. 전력 분야의 탄소 감축도 원전과 신·재생 확대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전력망 확충이 공기업 한국전력(015760)공사(한전)의 재무위기 속 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정부는 산업·에너지업계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 가능성일 높이는 현실적 탄소감축 목표를 세우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올 4월 일찌감치 관계부처가 참여한 협의체와 분야별 전문가 약 50명으로 이뤄진 작업반을 꾸려 2035 NDC 수립 작업에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와 맞물려 올 8월부터 철강업계를 비롯한 탄소 다배출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정부는 이날 컨퍼런스를 시작으로 오는 30일 산업부 탄소중립·에너지정책 세미나와 제3차 탄녹위 전체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및 전문가와 해법을 모색한다. 2035 NDC 작업을 주도하는 탄녹위 개편 논의도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달 초 한화진 전 환경부 장관을 탄녹위 신임 민간위원장으로 임명하고, 환경부 중심의 현 조직 구조를 환경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부가 삼각 축을 이루는 개편안을 검토 중이다.남형기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탄녹위 사무처장)은 “기후위기는 인류가 당면한 도전이지만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며 “현 기휘위기 시대를 도약의 기회로 만들어가기 위해 지혜를 모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8 I 김형욱 기자
통상본부장 "주력·신흥국 수출 고른 성장세…올해 역대최대 실적 달성 노력"
  • 통상본부장 "주력·신흥국 수출 고른 성장세…올해 역대최대 실적 달성 노력"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8일 제10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를 열고 올해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을 위한 의지를 다졌다.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8일 정부세종청사 회의실에서 열린 제10차 수출지역담당관회의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사진=산업부)우리나라 수출은 지난해 부진을 딛고 올 1~9월 기준 거의 모든 지역에서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9대 지역 중 유럽연합(EU)과 독립국가연합(CIS)을 뺀 7개 지역에서 전년대비 증가다.9월까지의 대(對)중국 수출액은 반도체를 비롯한 IT품목 선전에 힘입어 전년대비 6.8% 늘어난 979억달러를 기록 중이다. 대미국 수출 역시 자동차와 반도체, 컴퓨터 수출 증가에 힘입어 14.0% 늘어난 951억달러를 기록 중이다.대아세안 수출(846억달러·6.6%↑)와 일본(221억달러·3.0%↑), 중남미(220억달러·17.0%↑), 중동(146억달러·3.0%↑), 인도(141억달러·6.0%↑) 등 수출도 모두 전년대비 늘었다. 우리의 4대 수출지역인 EU 수출은 1~9월 누적으론 전년대비 줄었으나 8월 이후 선박, 바이오헬스 부문 수출 증가로 반등에 성공해 2개월 연속 증가세다.우리나라는 이 같은 지역별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올 10월20일까지 전년대비 8.8% 늘어난 5414억달러 수출 실적을 기록 중이다. 현 추세라면 2022년 기록했던 연간 최대 수출실적 6836억달러 돌파가 확실시된다. 다만, 10월 들어 중국 경기둔화 등 여파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어 내달 초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의 통상 불확실성 확대 우려도 있어 정부와 업계의 긴장도 커지고 있다.정 본부장은 “우리 수출이 중동 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높은 불확실성에도 주력·신흥시장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4분기 수출 플러스와 올해 역대 최대 수출 실적 달성을 위해 민·관 원팀이 가능한 모든 자원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8 I 김형욱 기자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연구자 700명 제주에 모인다
  •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연구자 700명 제주에 모인다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8~29일 제주에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사업 통합 기술교류회를 연다고 밝혔다.(사진=게티이미지)정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 대학, 연구소 연구자 7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2020~2029년 10년간 총 1조96억원을 투입해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개발을 위한 소자와 설계, 제조공정 등 부문별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5년간 1472건의 특허 출원과 1155편의 SCIE 논문 게재, 1284명의 연구인력 양성 등 성과를 거뒀다.구체적으로 카이스트는 이 사업을 통해 초저전력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고, 퓨리오사 AI는 차세대 데이터센터용 가속기를 개발했다. 넥스트칩은 센서 융합 인공지능 SoC 및 자율주행 ECU 플랫폼을 개발하고, 케이씨텍은 10㎚급 STI용 고신뢰성 CMP 장비를 개발했다.이번 기술교류회에선 국내 대표 AI 반도체 팹리스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서울대 등 현재 진행 중인 114개 정부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 중인 353개 기관이 참여해 연구 현황과 성과를 공유한다. 또 Sub 나노미터 시대 반도체 소자 미세화에 대응하기 위한 차세대 옹스트롬급 반도체 기술개발 추진 등을 논의한다.권현준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10년 중 절반의 반환점을 돈 이 사업은 그동안 국내 반도체 연구개발 생태계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줬다”며 “앞으로 연구 성과를 더 고도화하고 정부 반도체 사업과 전략적으로 연계해 국가적인 반도체 연구개발 연량 결집으로 이어지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윤성혁 산업부 첨단산업정책관은 “AI가 전 산업으로 확산하며 시스템반도체 개발 수요가 급증하는 미래를 내다보고 기획한 대표 연구개발 사업”이라며 “사업 성과물이 기업에게 도움을 주고 시장에서 잘 활용되도록 정부도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2024.10.28 I 김형욱 기자
1000여팀 로봇 능력 겨뤘다…2024년 국제로봇 콘테스트 폐막
  • 1000여팀 로봇 능력 겨뤘다…2024년 국제로봇 콘테스트 폐막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지난 주말 국내외 1000여팀이 로봇 능력을 겨루는 자리가 마련됐다.지난 25~26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4 국제로봇 콘테스트’ 참가 학생들이 미니 로봇 경기를 펼치는 모습. (사진=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지난 25~26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4 국제로봇 콘테스트 및 R-BIZ 챌린지’가 8개국에서 온 1068개 팀 2360명이 참가한 가운데 펼쳐졌다고 밝혔다.이 대회는 로봇산업진흥원이 로봇 개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국내 최대 로봇산업 전시회 ‘로보월드’ 중 매년 열고 있는 행사다. 올해도 미니 로봇 농구 경기 등 총 14개 대회 44개 종목으로 나누어 양일간 펼쳐졌다.로봇산업진흥원은 각 대회 입상 팀에 대통령상 4점, 국무총리상 3점, 산업부 장관상 20점 등 총 200여점의 상을 수여했다. ‘로빗 제로(Robit Zero)’와 ‘노원의 봄’ 팀 등이 부문별 최우수 성적을 거두며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받았다. R-BIZ 챌린지에서도 ‘사이버칵테일2077’과 ‘코이봇’ 2개 팀이 대통령상을 받았다.손웅희 로봇산업진흥원 원장은 “로봇과 우리 일상이 동행하고 있음을 확인한 자리”라며 “국민의 로봇 활용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앞으로 더 실용적이고 다채로운 대회를 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10.27 I 김형욱 기자
국표원, 2024 IEC 총회 참석…중전압 직류배전망 기술위 신설 제안
  • 국표원, 2024 IEC 총회 참석…중전압 직류배전망 기술위 신설 제안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지난 21~25일(현지시간) 영국 에든버러에서 열린 2024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총회에 참석해 중전압 직류배전망(MVDC)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기술위원회(TC) 신설을 제안했다고 27일 밝혔다.IEC는 전기·전자 분야 국제표준을 관리하는 국제표준기구다. 새 국제표준화가 필요할 때마다 산하 TC(Technical Committee)를 설립해 이를 전담한다.우리나라는 중전압 직류 배전망이 미래 전력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올 5월 IEC에 국제표준을 제안한 바 있다. IEC가 최근 이를 미래 표준화 핵심 분야로 선정하면서 TC 설립을 제안한 것이다.MVDC(Medium Voltage Dirct Current)은 먼 지역 간 대용량 송전을 위한 100킬로볼트(㎸) 이상 고압 직류 송전선로(HVDC)와 사업장이나 가정 내 전력 공급을 위한 1㎸ 이하 저압 직류 배전망(LVDC)를 연결하는 1.5~100㎸ 사이의 중거리 전력망이다.해양 플랜트나 대규모 산업시설의 전력망 연계, 특히 탄소중립 시대 주요 발전원으로 부상 중인 수소연료전지나 태양광 등 신·재생 발전설비, 그리고 전기차 급속충전설비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의 연계 효율이 높아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테크사이 리서치(TechSci Research)는 이 MVDC 글로벌 시장 규모가 2029년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중전압 직류배전망(MVDC)과 고전압 송전선로(HVDC), 저전압 직류배전망(LVDC) 비교 표. (표=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이번 총회에서 MVDC 국제표준 TC 설립을 제안함에 따라 추후 설립될 해당 TC 간사국 수임에 유리한 입지를 선점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가 IEC TC 신설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건 2011년 인쇄전자 국제표준을 위한 TC 119와 2017년 착용형 스마트기기의 TC 124에 이어 세 번째다.진종욱 국표원 원장은 “우리나라가 미래 전력 인프라 혁신을 주도할 기회를 마련한 것”이라며 “TC 신설을 차질없이 준비해 우리 전기·전자 산업계의 국제표준화 경쟁력 강화 기반을 더 공고히하겠다”고 말했다.한편 국표원은 이번 총회에서 체코 표준계량시험원과 2년의 표준협력 양해각서(MOU) 시행계획 협약을 맺고 표준분야 협력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체코를 찾아 전면적인 경제협력 확대를 약속한 데 대한 후속 조치다. 두 기관은 앞으로 2년간 AI 및 전기차 충전기 분야 기술표준 워크숍과 한-체코 표준협력포럼 공동 개최를 추진한다.
2024.10.27 I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주간계획(10월28일~11월2일)
  • 산업통상자원부 주간계획(10월28일~11월2일)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다음은 내주(10월28일~11월2일) 산업통상자원부 주요일정 및 보도계획이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주요일정△10월28일(월)15:00 AI자율제조선도프로젝트 협약식(장관, 하얏트H)18:30 체코 국경일 행사(장관, 풀만H)15:00 수출지역담당관회의(본부장, 세종청사)△10월29일(화)13:00 민생 입법과제 점검당정 협의회(장관, 국회)13:30 통상정책자문위(본부장, 롯데H)15:50 FTA 실무인력 양성사업 모의 무역 실전대회(본부장, KOTRA)15:00 첨단산업 특화단지 제4차 협의체 회의(1차관, KIAT)△10월30일(수)15:15 탄소중립·에너지정책 세미나(1차관, 대한상의)10:00 수소의 날 개회식(2차관, 서울 세빛섬)14:00 제3차 탄녹위 전체회의(2차관, 서울청사)△10월31일(목)09:15 삼성 바이오로직스현장방문(장관, 인천 송도)14:00 글로벌통상전략회의(장관, 롯데H)10:00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본부장, 서울청사)16:00 인·태 정책포럼(본부장, 대한상의)18:30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신규위원 면담(본부장, 오크우드H)17:30 화학산업의 날(1차관, 플라자H)09:00 차관회의(2차관, 서울청사)15:00 2024 국가 대테러종합훈련(2차관, 가스공사 인천기지본부) △11월1일(금)09:30 수소경제위, 수소의 날(장관, 서울 세빛섬)16:30 배터리 산업의 날(장관, 조선팰리스H)13:00 APEC 비전분과 회의 및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현황 점검(본부장, 경주시)◇보도계획△10월27일(일)11:00 미래형 직류배전망 국제표준화, 한국이 이끈다△10월28일(월)06:00 차세대지능형반도체 통합기술교류회 개최(과기부 공동)15:00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본격 추진11:00 제10차 수출지역 담당관회의 개최11:00 2025년 하반기 에너지혁신인재포럼 및 채용상담회 개최12:00 제4회 EU CBAM 대응 정부합동 설명회 개최(환경부·중기부·관세청 공동)△10월29일(화)11:00 국가바이오위원회 설치·운영 규정 제정(과기부·복지부 공동)11:00 미국 대선 전망과 대응 방안, 통상전문가들의 의견 듣는다17:00경 직업계고 학생들이 배운 FTA 및 무역 이론을 실전에서 활용하다11:00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협의체 회의 개최11:00 금융허브 싱가포르에서 경제자유구역 공동홍보 나선다11:00 2024년 9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11:00 유류세 인하 일부 환원 조치 대비 석유시장 점검11:00 국내복귀 지원정책 성과 가시화△10월30일(수)06:00 2024 아시아기계·제조산업전’ 개최06:00 통상차관보, 미국 기업 대표단과 양국 경제협력 강화방안 논의11:00 대한민국 산업의 허리!소부장과 뿌리산업11:00 산업경쟁력과 탄소중립 목표의 동시 달성을 위해 민관의 지혜를 모으다11:00 기업의 탄소감축 투자에 800억원 융자 추가지원11:00 첨단산업 도약 위한 초격차 준비 ‘계량측정’이 선도한다11:00 전기침대, 어린이 놀이기구 등 4개 제품 리콜명령△10월31일(목)09:15 바이오헬스 수출현장 방문06:00 글로벌 수준의 스타 디자인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민관 협력 강화06:00 최신 해외인증 동향부터 수출전략‘까지 ’해외인증 트렌드 2024‘ 열려14:00 장관, 미국 대선 앞두고 민관 원팀 대응방안 논의11:00 인·태 지역 핵심국가 ‘인도’와의 협력 확대를 위한 전문가 회의 개최11:00 제16회 화학산업의 날 개최11:00 자동차·가전 등 주요품목 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 개시11:00 산업부, 2024년 3분기 2.9조원 규모 투자 프로젝트 애로해소 완료·확정△11월1일(금)10:50경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국조실·국토부 공동)11:00 ‘수소의 날’ 계기 민관이 함께 모여 굳건한 06:00 통상교섭본부장, 2025 APEC 정상회의 및 기업인 행사 준비11:00 2024년 10월 수출입동향11:00 제4회 배터리 산업의 날 개최11:00 GW급 전압형 HVDC 기술개발 R&D 추진
2024.10.26 I 김형욱 기자
가스안전공사, 몽골에 가스안전 관리 노하우 전수
  • 가스안전공사, 몽골에 가스안전 관리 노하우 전수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국내 가스안전 관리를 맡은 공공기관 한국가스안전공사가 몽골에 가스안전 관리 노하우를 전수했다.한국가스안전공사가 지난 24일 몽골 울란바토르 국립도서관에서 현지 정부·업계와 공동으로 진행한 ‘한국-몽골 가스안전 교육’ 모습. 몽골 정부 및 가스안전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현지 사용이 늘아나고 있는 액화석유(LP)가스 안전관리 방안을 모색했다. (사진=가스안전공사)가스안전공사는 지난 24일 몽골 울란바토르 국립도서관에서 몽골 정부 및 가스안전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몽골 가스안전 교육’을 펼쳤다고 25일 밝혔다.몽골 정부는 수도이자 전체 국민의 절반이 살고 있는 울란바토르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액화석유(LP)가스 사용 확대를 꾀하고 있다. 게르 지역의 원탄이나 나무를 때면서 나오는 대기오염 물질과 늘어나는 자동차 운행량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 중 하나라는 오명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통 안에 공기를 압축해 액화한 LP가스 사용 비중이 늘어나면 그만큼 안전사고 위험이 커져 만큼 관련 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올 1월에도 현지 시내에서 LP가스 운반차량 폭발 사고로 8명이 죽고 3명이 다치며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양국은 이에 한국의 가스안전 규제 관련 정부를 몽골에 공유함으로써 몽골 현지 가스안전 수준을 끌어올리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몽골 관계자는 이날 교육에서 현지 가스연료 사용 현황과 관련 법령, 안전 대책을 소개하고, 가스안전공사는 한국의 가스안전 사고 사례와 그에 대한 연구, 예방대책을 공유했다.김훈 가스안전공사 안전정책처장은 “몽골의 가스 보급 확대는 현지 생활편의와 대기질 개선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교육이 양국의 지속 가능한 협력 기반 마련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4.10.25 I 김형욱 기자
KTR, 韓의료기기 아세안 7개국 현지 제품등록 지원한다
  • KTR, 韓의료기기 아세안 7개국 현지 제품등록 지원한다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시험·인증기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이 현지 기관과 손잡고 한국 의료기기의 아세안 수출에 필수적인 현지 등록 지원을 돕는다.김현철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원장(왼쪽)이 지난 24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페낭에서 아세안 7개국 의료기기 등록 대행기관인 싱가포르 안다만 메디컬(Andaman Medical)의 므라드 콜티(Mourad Kholti) 대표와 우리 기업의 현지 제품등록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KTR)KTR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페낭에서 아세안 7개국 의료기기 등록 대행기관인 싱가포르 안다만 메디컬(Andaman Medical)과 현지 의료기기 등록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고 밝혔다.안다만 메디컬은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캄보디아 아세안 7개국 의료기기와 체외진단기기 제품 등록과 법정대리인 업무를 하는 기관이다.말레이시아 등은 자국 내 유통되는 모든 의료기기에 의료기기청(MDA) 사전 등록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사전 등록 역시 허가받은 현지 사무소나 법정 대리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국내 기업은 이 때문에 현지에 의료기기를 수출하려면 시간과 비용을 들여 현지 법정대리인을 섭외 후 제품을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했다.KTR은 현지 안다만 메디컬과의 협력으로 국내 기업이 좀 더 편리하게 현지 제품 등록과 법정 대리인 섭외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계기로 수출기업 공동 세미나와 인증 동향 정보 교류를 통해 우리 기업의 현지 의료기기 수출 지원사업도 추진키로 했다.김현철 KTR 원장은 “의료기기는 다수 국가에서 엄격한 규제와 까다로운 수입 절차를 요구하는 만큼 현지 기관과의 협력관계 구축이 필수”라며 “현지 협력체계 확대로 국내 의료기기 수출길을 넓혀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10.25 I 김형욱 기자
KTC, 프랑스 탄소검증기관 손잡고 韓기업 EU CBAM 대응 지원
  • KTC, 프랑스 탄소검증기관 손잡고 韓기업 EU CBAM 대응 지원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프랑스 탄소검증기관과 손잡고 한국 기업의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EU CBAM) 대응 지원에 나선다.(오른쪽부터) 안성일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원장과 니콜라스 뒤센(Nicolas Duchene) 노르멕 베리파비아(Normec Verifavia) 대표가 2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노르멕 베리파비아 사무실에서 한국 기업의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EU CBAM) 대응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KTC)KTC는 2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EU 탄소 배출권 거래시스템(ETS) 공인 검증기관인 노르멕 베리파비아(Normec Verifavia)와 이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고 밝혔다.국내 시험·인증기관으로서 한국 기업의 현지 환경규제 대응을 좀 더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협약이다. EU는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하고자 올해 CBAM을 도입했다. 철강, 시멘트 등 6개 탄소 다배출 업종의 제품의 유럽 반입 과정에서 해당 제품의 탄소 배출량 정보를 신고토록 하고, 2026년부턴 이를 토대로 탄소배출권 구매를 의무화하는 내용이다.국내 철강·시멘트 업계는 이에 대(對)EU 수출 경쟁력 저하와 함께 탄소 배출량 제출 과정에서 기업 기밀 제품정보가 유럽 경쟁사로 새 나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제품의 탄소 배출량 정보를 공인된 방식으로 측정하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느끼는 실정이다.프랑스에 기반을 둔 노르멕 베리파비아는 EU 내 대표적 탄소 배출량 산정·검증 기관으로서 EU CBAM 시행을 위한 데이터 검증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KTC는 노르멕 베리파비아와의 협약을 계기로 이곳과 한국 기업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검증과 관련해 협력기로 했다. 안성일 KTC 원장이 직접 협약식에 참여해 니콜라스 뒤센(Niclas Duchene) 노르멕 베리파비아 대표와 상호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KTC는 하루 앞선 전날(23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안 원장을 비롯한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독일 사무소도 정식으로 문 열었다. 이곳은 앞으로 EU CBAM을 비롯해 EU의 의료기기 강화 지침(MDR·IVDR) 등 현지 시험·인증 규제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안 원장은 “EU가 탄소규제를 강화하며 우리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인증 절차가 복잡해지고 관련 정보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유럽 검증 기관과의 협력 확대로 우리 기업을 위한 실질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2024.10.25 I 김형욱 기자
국표원 “2028년까지 로봇 국제표준 16종 제안 추진”
  • 국표원 “2028년까지 로봇 국제표준 16종 제안 추진”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이 2028년까지 국제사회에 융·복합 로복 관련 국제표준 16종을 제안한다는 목표를 세웠다.(사진=게티이미지)국표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융·복합 로봇 기술 국제표준화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로봇을 비롯한 첨단산업의 빠른 표준화를 통해 해당 산업의 발전을 돕는다는 취지에서 올 5월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을 발표했고, 이후 로봇 관련 기업·대학·연구소 전문가들은 로봇 국제표준화 포럼을 만들어 이번 전략을 수립했다.이 전략을 통해 2028년까지 웨어러블, 재활, 가정용 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핵심 국제표준 16종을 국제사회에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와 맞물려 국가표준(KS) 21종 제정을 추진한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당장 올해 장애인 재활보조 로봇의 사용자 안전 요구 사항을 담은 국제표준안을 북미 재활공학 및 보조기술 협회(RESNA)와 함께 개발 중이다.오광해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로봇 산업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 생산성을 높일 미래 핵심산업”이라며 “로봇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4.10.25 I 김형욱 기자
산업부, ‘방한’ 페트로나스 임원 면담…LNG·CCS 등 협력 논의
  • 산업부, ‘방한’ 페트로나스 임원 면담…LNG·CCS 등 협력 논의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이 25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방한한 다툭 아디프 줄키플리(Datuk Adif Zulkifli) 페트로나스 가스해양사업부문장과 만나 에너지 분야 협력을 논의했다.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오른쪽)이 25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다툭 아디프 줄키플리(Datuk Adif Zulkifli) 페트로나스그룹 가스해양사업 부문장과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산업부)페트로나스는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으로 자국의 유전·천연가스전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동남아 최대 에너지기업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곳에서 우리의 핵심 에너지원인 천연가스를 액화 형태(LNG)로 들여오고 있다. 또 국내 기업인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은 2021년 페트로나스와의 계약으로 현지 해상광구 탐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기도 하다. 양국 기업 간 협력으로 폐가스전을 활용한 국제 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이번 만남은 페트로나스 임원진이 우리 기업과의 연례 업무논의 차원에서 방한한 것을 계기로 이뤄졌다.이호현 실장은 한국가스공사(036460)를 비롯한 우리 기업이 페트로나스로부터 LNG를 공급받는 것은 물론 현지 가스전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걸 강조하며, 앞으로도 우리 기업과 페트로나스의 협력 관계가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또 한국석유공사와 삼성E&A(028050) 등이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에서 추진 중인 그린수소·암모니아 생산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도 당부했다.이 실장은 또 우리 기업과 페트로나스가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해 국내 발생 이산화탄소를 포집 후 현지 폐가스전으로 보내 저장한다는 ‘셰퍼드 프로젝트’와 맞물려, 양국 정부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논의 중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CCS 분야에서도 페트로나스가 양국 협력에 적극적으로 역할해 달라고 전했다.
2024.10.25 I 김형욱 기자
‘현미경 검증’ 넘어선 대왕고래·체코원전…성과 부담은 커졌다
  • ‘현미경 검증’ 넘어선 대왕고래·체코원전…성과 부담은 커졌다[2024국감]
  • [이데일리 김형욱 강신우 기자] ‘결정적 한 방은 없었다.’ 한국석유공사의 동해 심해가스전 탐사시추, 이른바 대왕고래 프로젝트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5·6호기 수출이 3주간(7~24일)에 걸친 국회 국정감사 기간 야권의 ‘현미경 검증’을 무사히 넘겼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野, 국감 마지막날까지 집중 검증 나서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하 산자중기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대한 마지막 종합감사 날까지 두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혹을 제기했다. 대왕고래 사업 추진의 각 절차부터 올 6월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발표하게 된 배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혹을 제기했다. 한수원이 올 7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체코 원전사업에 대해서도 정부가 친원전 정책을 뒷받침하고자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 아니냐며 추궁했다.그러나 두 사업에 차질을 빚을 만한 결정적 결격 사유는 없었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처음에 최대 140억배럴로 발표한 대왕고래 7개 유망구조의 석유·가스 매장가능량이 35억~140억 배럴로 ‘보정’되는 해프닝은 있었지만, 올 12월 첫 탐사시추와 그 이후 해외투자 유치 추진에 지장을 줄 정도의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다. 석유공사는 올 12월 첫 탐사시추를 앞두고 세계 1위 시추기업인 미국 슐럼버거에 암석·가스 성분 분석을 맡기고, 해외투자 유치를 위한 투자 자문사로 S&P글로벌을 선정하는 등 절차를 밟고 있다.한국석유공사의 동해 대륙붕 탐사 모습. (사진=석유공사)야권은 체코 원전에 대해서도 수주를 위해 정책금융 지원을 약속했다는 의혹에 화력을 퍼부었으나 구속력 없는 정책금융 지원의향서(LOI) 체결 외 추가적인 내용은 없었다. 이는 정책금융기관이 삼성·LG·현대 등 우리 기업의 해외 사업 수주 때 제공하는 것과 똑같다.다만, 조기 성공에 대한 부담은 커졌다. 대왕고래는 유전·가스전 개발 사업의 특성상 현재까지 확인된 총 7곳의 유망구조를 모두 탐사시추하더라도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정치권의 높은 관심 탓에 올 12월 돌입해 3~4개월이 걸리는 1차 탐사시추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다시 한번 정쟁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 2차 이후 탐사시추는 심해 탐사 경험이 많은 해외 기업과 협업한다지만, 국내 지분 확보를 위해선 정부 예비타당성조사(예타)와 ‘거야’가 장악한 국회의 승인을 거쳐 예산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체코 원전 역시 정부와 한수원이 내년 3월로 예정된 본계약 전까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적재산권(지재권) 분쟁 같은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국민이 납득할 수준의 결과물을 가져와야 한다.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체코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야당에서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이유로 한수원과의 본계약 체결 무산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고, 내년 9월 총선 땐 정권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며 “내년 상반기 중 본계약하지 않으면 여러 정치적 변수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체코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 전경. 체코 정부는 이곳에 원전 2기를 신설키로 하고, 지난 7월17일(현지시간) 사업자 본계약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한 ‘팀 코리아’를 선정했다. (사진=한수원)두 사업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이 낮아졌다. 허종식 민주당 의원이 지난 21~22일 ㈜리서치DNA를 통해 설문조사한 결과 대왕고래에 대해 응답자 59.9%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긍정 응답은 29.5%에 그쳤다. 심지어 15년 만의 한국형 원전 수출을 목전에 둔 체코 원전에 대해서도 부정 평가(46.2%)가 긍정 평가(38.4%)보다 높았다.◇산업장관 “전기료 정상화·전력망 구축 계속 추진”일부 여당 의원은 이날 종감에서 정부와 한국전력(015760)공사(한전)가 전날 단행한 산업용 전기요금 9.8% 인상 결정에 대해 비판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은 “원가의 50~60%밖에 안 되는 주택용 전기요금은 그대로 두고 산업용 요금을 대폭 올리며 산업경쟁력 저하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라며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 마련과 함께 전기요금 전반을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에 “서민경제가 어려워 마련한 고육지책 방안”이라며 “연내 추가 조정은 어렵겠지만 앞으로 계속 요금 정상화 방안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답했다.전력산업계의 숙원인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특별법)과 해상풍력발전특별법의 빠른 제정 기대감은 국감을 거치며 높아졌다. 두 특별법에 대해선 여야 의원 모두 빠른 법 제정을 촉구했다. 두 법은 각각 한전과 개별 사업자에 의해 이뤄지던 송전망 구축과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 사업을 정부 주도로 진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이언주 민주당 의원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한전이 도맡은) 전력망 구축이 5~12년씩 지연되면서 제주·호남 지역에선 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을 오히려 차단하고 있다”며 “정부 주도로 하루빨리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해야 할 것”고 역설했다.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역시 “하남시가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의 종착지인) 한전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사업을 불허하는 동안 정부는 강 건너 불구경만 했다는 지적이 많다”며 “산업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안 장관은 이에 “국회에서 발의한 전력망특별법에 정부가 (전력망 확충을 위한) 제도를 시행할 기반이 있다”며 “(법 제정과 함께) 꼭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25 I 김형욱 기자
“트럼프 당선 땐 車·IT기기 무역수지 개선 압력 커질수도”
  • “트럼프 당선 땐 車·IT기기 무역수지 개선 압력 커질수도”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미국 대통령 선거(대선)가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한다면 승용차나 IT·가전 등 최근 미국의 대(對)한국 무역수지 적자 폭이 많이 늘어난 품목을 중심으로 무역수지 개선 압력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AFP)정부 출연 연구기관 산업연구원은 24일 이 같은 전망을 담은 보고서 ‘트럼프 재선 시 통상정책 변화와 우리의 대응방안’(김수동 연구위원·최정환 부연구위원)을 펴냈다.미국은 오는 11월5일(현지시간) 대선을 치른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나선 가운데 현지 여론조사가 박빙으로 나타나며 그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우리의 주요 산업과 대미 통상환경이 크게 바뀔 수 있다.보고서는 “두 후보 모두 전략적 경쟁국인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미국 핵심 전략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산업·통상 정책을 추진할 전망”이라며 “다만, 해리스 후보는 바이든 현 대통령의 정책 기조를 이어받아 앞선 4년의 정책과 큰 변화는 없겠지만, 트럼프 2개 출범 땐 미국 이익 중심의 강력한 보호주의 통상정책과 함께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도 전례 없이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수입 상대국 전반에 대한 10% 수준의 보편관세 도입과 대중국 추가 고율관세 부과 등 공약을 내걸고 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나 피터 나바로 같은 대표적 반중(反中) 보호무역주의자가 내각 전면에 등장해 이를 시행할 수 있다. 보고서는 “보편적 기본관세 등이 시행되면 우리 경제와 산업에 끼치는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트럼프 당선 상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전했다.트럼프 전 대통령 2017년 집권 1기 시작과 함께 다자 무역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선언하며 ‘미국 우선주의’를 공식화했다. 또 그 이듬해인 2018년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우리의 대미 수출 품목인 세탁기나 태양광 셀·모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를 시행해 우리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기도 했다. 미국은 같은 해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일정량 이상의 수입 철강재에 대해 25% 관세를 일괄 부과해 우리 철강산업계를 곤혹스럽게 하기도 했다. 무역적자를 문제 삼은 미국 측 요구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도 이뤄졌다.미국 조지아주 서베너에 짓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사진=한국무역보험공사)보고서는 이 같은 트럼프 1기 때의 경험을 토대로 트럼프 재집권 때의 통상정책 방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미국 보수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이 최근 펴낸 ‘리더십을 위한 지침: 보수의 약속(2025 Mandate for Leadership: The Conservative Promise)’이 트럼프 2기의 통상정책 방향을 예측하는 적절한 자료라고 지목했다. 트럼프 1기 당시 국가무역위원장과 백악관 무역제조정책국장을 역임한 피터 나바로 등이 이 보고서의 무역 부문을 작성했다. 불공정한 WTO 체제가 미국의 대세계 무역수지 적자로 이어진 만큼 2019년 추진했던 미국 상호무역법(USRTA) 도입 재추진 등을 통해 중국, 유럽연합(EU), 대만, 베트남 등 무역적자가 큰 국가와의 관세율 조정에 나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보고서는 “트럼프 2기가 등장하면 1기보다 주요 신흥국을 비롯해 더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공세적인 통상정책이 예상된다”며 “인도, 베트남, 태국 등 신흥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대미국 수출 장벽·제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베트남은 현지 진출한 한국 기업의 대외수출 중 21%가 대미 수출이고 그 원료와 중간재 약 25%를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더 직접적으로 한국에 대한 미국의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통상 압력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연평균 458억달러(전체의 3.8%)로 멕시코·캐나다(USMCA)나 EU, 일본, 베트남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지만, 최근 3년 연평균 증가율이 27.5%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특히 2019년 한·미 FTA 개정을 전후해 미국을 기준으로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 폭이 증가한 품목을 중심으로 미국의 FTA 재개정 등 요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승용차와 컴퓨터 부분품과 저장매체, 냉장고 등 가전제품이 이 같은 조건에 들어맞는 품목이다.보고서는 “2019년 한·미 FTA 재협상 이후 미국의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가 빠르게 증가했기에 FTA 재개정이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다른 요구가 나올 수 있다”며 “해당 품목에 대한 미국 측 무역수지 개선 압력에 대비하는 동시에 우리 경제 영향이 큰 품목 전반을 리뷰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4.10.24 I 김형욱 기자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