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정부, 美 생명과학 기업 투자유치 추진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정부가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계획 실현을 위해 미국 생명과학 기업인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의 투자유치에 나섰다.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이 28일 인천 연수구에 소재한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의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센터를 방문해 석수진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 대표(오른쪽)로부터 회사 운영현황과 애로사항을 청취한 후 센터내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있다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인천 연수구 송도에 있는 써모피셔의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센터를 방문해 투자유치 방안을 논의했다.써모피셔는 전 세계 60여개국에 8만여명의 직원을 보유한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이다. 최근 코로나19 백신으로 수요가 급증한 배지, 일회용백 등 핵심 원부자재를 생산하고 있다.국내에는 1994년 ‘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로 진출한 이래 지난해 7월 바이오프로세스 디자인센터를 개소한 데 이어, 올 1월에는 ‘바이오프로세스 서플라이센터’ 설립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투자를 진행해왔다.써모피셔 본사는 지난해 6억5000만달러(약 8200억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지에 백신 원부자재 공장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인 투자 지역과 규모 등은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이에 정부는 써모피셔가 투자를 계획 중인 백신 원부자재 생산시설의 일부를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여 본부장은 “한미 양국은 작년 5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한 이래 미국의 백신 기술 및 원부자재 공급능력과 한국의 생산능력을 상호 결합하고자 긴밀히 협력해 왔다”고 언급했다.이어 “한국을 글로벌 백신허브로 육성하고자 적극 노력한 결과 지난해 싸이티바, 싸토리우스 등 우수한 백신 원부자재 기업 유치에 성공한 바 있다”며 “써모피셔의 한국 투자를 위해서도 앞으로 긴밀히 논의해나가자”고 말했다.여 본부장은 “한국은 우수한 바이오 역량,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정책, 58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한-미·한-유럽연합(EU) 백신 파트너십 등 개방적이고 투명한 협력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 지역의 백신 거점으로 최적의 장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결과가 우수하게 나왔따”면서 “앞으로 더욱 많은 비즈니스 기회가 확보되고, 적극적인 규제 완화도 예상되는 만큼 한국을 투자처로서 적극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 LNG선 핵심 기자재 국제표준 선점 시동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우리나라가 친환경·고부가 선박의 대명사인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시장에서 세계 1위 경쟁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핵심 기자재의 국제표준 선점에 나선다. LNG 선박 기자재 시험평가 설비 조감도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LNG 재액화기 성능평가 시험방법’ 표준안이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됐다고 28일 밝혔다. 신규작업표준안 채택은 국제표준 제정 절차의 첫 관문으로, 우리나라는 채택 여부를 묻는 기술위원회 투표에서 미국, 중국, 일본, 프랑스 등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이끌어냈다. LNG 재액화기는 화물 탱크 내부에서 자연 기화되는 증발가스를 재응축해 다시 LNG 상태로 바꿔 회수하는 장치이다. LNG 화물 손실을 최소화해 LNG선의 운항 경제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LNG선 시장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기자재로 꼽힌다.하지만 LNG 재액화기의 성능평가에 대한 국제표준이 없어 선박 발주처 별로 제시하는 각기 다른 요구사항에 따라 성능평가를 진행하다 보니 시간과 비용 손실이 불가피했다. 이에 우리나라는 LNG 재액화기의 안전성과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압력시험, 분출시험 등 안전성 시험과 재액화율 측정시험의 방법· 절차 등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했다.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이 국제표준안 개발을 주도했으며, 신규작업표준안 채택 이후의 국제표준 제정 절차도 정지현 KOMERI 선임연구원이 이끌어 갈 예정이다 국표원은 포스코가 개발한 고망간강을 LNG선박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국제표준을 올해 안에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추가 제안할 계획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해 9월 국제협약을 통해 △9%-니켈강 △알루미늄합금 △오스테나이트강 △오스테나이트 Fe-Ni합금 등 기존 4개 소재 외에 고망간강을 LNG선박 소재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에 국표원은 고망간강 소재·부품의 제조기준, 품질기준 등에 관한 국제표준을 선점해 우리 기업의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고망간강은 기존 소재보다 극저온환경에서의 성능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도 우수해 향후 LNG 저장탱크, 파이프 등의 소재로 각광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LNG선 핵심 기자재 국제표준을 선점해 세계 1위 LNG선 건조국의 위상을 높이고, 시장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LNG선뿐만 아니라 수소선박, 전기추진선박 등 차세대 친환경·고부가 선박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이 분야 표준 개발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울산과기원·KIC 등 공공기관 14곳 연봉 `억` 소리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정부는 매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국정과제의 이행 성과, 사회적 가치, 경영실적 등에 대한 경영평가를 진행합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는 올해는 공공기관에 대한 정책 변화는 물론 경영평가 방식 개선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습니다. 이데일리는 경영평가에 한발 앞서 공공기관 경영 실태를 진단해보는 기획을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이데일리 문승용 기자]공공기관은 정년 보장과 든든한 복리후생에 고액 연봉까지 보장돼 이른바 `신(神)의 직장`으로도 불린다. 실제로도 공공기관의 직원 평균 보수는 7000만원 턱밑까지 올라왔다. 대기업 뺨치는 억대 연봉 공공기관도 14곳이나 됐다. 문재인 정부 5년 간 조직과 인력이 비대해지고, 연봉까지 꾸준히 오르면서 공공기관이 부담하는 인건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27일 이데일리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통해 368개 공공기관(20개 부설기관 포함)의 최근 5년 간 직원 평균 보수 추이를 전수 조사한 결과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1억원 이상의 억대 연봉 공공기관은 총 15곳(2020년 기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만 해도 한국예탁결제원, 한국투자공사(KIC), 한국전기연구원 등 3곳에 불과했던 억대 평균 연봉 공공기관은 문 정부를 거치면서 크게 늘어났다. 아직 2021년도 공공기관의 연봉 자료가 공개되지 않은 걸 감안하면 현 정부에서 억대 연봉 공공기관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서도 단연 최고 연봉 공공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울산과학기술원으로 1인당 평균 1억1724만원에 달했다. 다음으로 △한국투자공사 1억1724만원 △한국과학기술원 1억1423만원 △한국산업은행 1억1263만원 △한국예탁결제원 1억1199만원이 `톱5`를 이뤘다. 이 외에 광주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화학연구원 등 억대 연봉 공공기관은 금융권과 연구기관에 집중됐다. 전체 공공기관의 1인당 평균 급여는 6931만원으로 집계됐다. 2016년 6650만원이었던 공공기관의 1인당 평균 보수는 △2017년 6749만원 △2018년 6817만원 △2019년 6814만원 △2020년 6931만원 등 문재인 정부에서 연 평균 2.3% 상승해 7000만원에 육박했다. 남성 평균 급여는 7364만원으로 여성(5928만원)보다 약 1436만원 많았다. A공기업 관계자는 “남성 직원들이 주로 심야 교대근무 등 잔업으로 추가 수당을 받아 통상적으로 여성보다 급여가 많다”고 설명했다. 인원 증가에 급여까지 오르면서 공공기관의 인건비 총액은 매년 가파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문 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21조8445억원이었던 공공기관 총인건비는 △2017년 23조3494억원 △2018년 26조1345억원 △2019년 28조6442억원 △2020년 30조2046억원 △2021년 30조7478억원(추정)으로 늘었다. 문 정부 5년 간 연 8조9033억원이 얹혀졌다. 임도빈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기존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이 단순히 신분 전환뿐 아니라, 점차 기존 직원들과 동등한 대우와 복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지난 5년 간 비대해진 공공기관의 인건비는 앞으로 더 불어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 45조 늘어난 빚에도 12만명 더 뽑은 공공기관
- [이데일리 윤종성 김형욱 기자] 정부는 매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국정과제의 이행 성과, 사회적 가치, 경영실적 등에 대한 경영평가를 진행합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는 올해는 공공기관에 대한 정책 변화는 물론 경영평가 방식 개선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습니다. 이데일리는 경영평가에 한발 앞서 공공기관 경영 실태를 진단해보는 기획을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이데일리 이미나 기자]흔히 `철밥통`으로 불리는 공공기관 임직원 수가 문재인 정부 들어 12만명 가까이 불어나 44만명을 넘었다. 비정규직의 무리한 정규직 전환에 신규 채용 압박을 가하며 급속도로 비대해진 공공기관에 쏟아부은 인건비는 작년에만 약 31조원으로 추산돼 현 정부 출범 후 9조원 가량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늘어난 인건비가 결국 세금, 공공요금 인상 등 국민 부담 증가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공공기관의 기능 조정, 통폐합 등 극약처방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27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공공기관 348곳의 임직원 수(정규직, 무기계약직 포함)는 44만3570명으로 집계됐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전인 2016년 말(32만8479명)과 비교하면 공공기관 임직원 수는 총 11만5091명 늘었다. 현 정부 들어 35%나 증가한 것. `비정규직 제로`를 내건 문 정부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정규직 전환을 강력 추진한 탓에 임직원 수는 해마다 급증했다. 특히 2018년 공공기관이 기획재정부를 거치지 않고 주무부처와의 협의만으로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한 자율정원조정제도 도입 후 2년간 연 4만명 안팎 폭증했다. 현 정부의 정규직화 정책에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한전MCS 등 신규 지정된 공공기관 18곳 임직원 수만 1만3567명에 이른다. 한국전력은 지난해 5조8601억원의 사상 최대 적자에도 임직원 수는 2만3540명까지 늘었다. 한전 2091명을 비롯해 한국수력원자력, 동서·중부·서부·남동·남부 등 6개 발전자회사에서 5년간 늘어난 임직원은 총 5396명이다. 이외에 △코레일테크 5200명 △근로복지공단 3968명 △한국철도공사 3898명 △한국도로공사 3087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3898명 △한국마사회 2018명 등에서 5년간 임직원이 크게 늘었다. 부동산 투기로 지탄받았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개혁안 발표 후 직원 704명을 감축했는데도, 2016년 말 대비 2342명이나 많다. 임직원 수가 늘어나니 인건비 지출도 치솟았다. 현 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공공기관 직원 평균 보수는 6650만원으로, 당해 공공기관 임직원 수를 감안한 인건비 총액은 약 21조8445억원으로 추정된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 2021년 공공기관 인건비는 약 30조7478억원으로, 문 정부 5년 간 8조9033억원 늘었다. 반면 이 기간 중 공공기관의 당기순이익은 15조7000억원에서 5조3000억원으로 3분의1 토막 나고, 부채는 500조3000억원에서 544조8000억원으로 불어나는 등 재무상황은 악화됐다.전문가들은 공공기관의 기능 조정 등을 통해 조직과 인원을 축소해 공공부문 효율화를 제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비대해진 공공기관이 민간시장을 잠식해 경제 효율을 떨어뜨리고, 납세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기능 조정과 통폐합을 통해 자연스레 인력 구조조정을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완선 성균관대 시스템경영학부 교수 역시 “공공기관 기능과 역할을 재점검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인력을 재배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산업부, 美·中·日 등 주요국과 수소경제 현황 공유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6~27일 이틀간 화상으로 열린 ‘제37차 국제수소연료전지파트너십(IPHE) 총회’에서 각국의 수소경제 정책과 IPHE 내 실무작업반의 과제 진행 현황 등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IPHE는 친환경·고효율 에너지 사회인 수소경제 조기 구현을 위한 국가간 협력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03년 11월 출범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영국, 호주, UAE, 스위스 등 23개국이 참여하고 있다.이번 총회에서 산업부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제1차 수소경제 이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한국의 수소 생산-운송·저장-활용 전주기 생태계 구축방안 등을 소개했다. 또 수소항공모빌리티 등 수소 관련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혁신 사례를 비롯해 그린수소 대량 생산 실증,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충전소 설립 등도 발표했다. 총회에서 미국은 초당적 인프라 투자 법안 통과를 통해 수소분야 약 95억 달러(약 11조8000억원) 예산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수소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일본은 세계 최초 액화수소 운송 실증 사례를 각각 발표했다. 이와 함께 프랑스는 수소 분야에 19억 유로(약 2조5000억원)의 추가 투자계획을 발표했고, 영국과 독일은 2030년 저탄소 수소 생산 목표량을 5GW(기가와트)에서 10GW로 두 배 확대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중동국가 최초로 IPHE에 가입하며 수소경제 확산을 위한 국제 공조에 동참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 위기에 대응해 각국은 수소경제를 통한 에너지 자립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며 “에너지 전환 시대의 주도권 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에 뒤처지지 않도록 국내외 청정수소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통상전문가들 "탈탄소·디지털 분야서 日과 협력 강화해야"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으로 아태 통상질서가 재편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일본과 실용적인 경제협력을 추진해 탈탄소·디지털 등 차세대 산업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사진=-연합뉴스)통상전문가들은 27일 ‘아태 통상 시대에서의 일본의 경제안보전략’을 주제로 열린 ‘3차 FTA 전략포럼’에서 “일본이 경제안전보장전략의 일환으로 수출통제 등을 통한 핵심산업 경쟁력의 확보 및 활용, 반도체·배터리 등 주요 산업의 공급망 강화뿐만 아니라 IPEF 등을 통한 동맹국과의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FTA 전략포럼은 공급망, 디지털, 기후변화 등 주요 신통상이슈를 중심으로 국제 통상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 맞춰 새로운 FTA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2월 출범했다. 1차 포럼은 ‘FTA 경제적 효과 분석의 이론과 실제’를, 2차 포럼은 ‘공급망 위기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신통상 거버넌스’를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이번 3차 포럼에는 이시욱 국제통상학회장(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 손열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이지평 한국외대 특임교수 등이 참석해 우리의 주요 교역대상국인 일본의 경제안보전략에 대해 발제 및 토론을 진행했다. 전윤종 산업부 통상교섭실장은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고 글로벌 통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아태 통상질서 내 한국과 일본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개방된 아태 통상질서 형성에 기여해 나가는 과정에서 공동이익에 부합하도록 일본과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관계를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부는 메가 FTA와 농축수산업, IPEF의 주요 쟁점 등을 주제로 올해 FTA 전략포럼을 2~3차례 추가 열고,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 김치냉장고·세탁기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기준 상향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김치냉장고, 전기세탁기, 전기냉난방기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준이 올라간다. 해당 품목을 생산하는 기업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혹은 2등급을 받기가 훨씬 더 까다로워졌다.세탁기 라벨 표시 방식 변경 전후산업통상자원부는 김치냉장고, 전기세탁기, 전기냉난방기 등 3개 기기의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대기전력 저감제도로 관리해 오던 모니터에 대해 소비효율 기준을 신설하는 내용의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을 26일 개정 고시했다고 밝혔다.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은 1~5등급으로 나뉘며, 최저기준(5등급)에 미치지 못하면 생산ㆍ판매가 금지된다. 기술 발전에 따른 제품 효율 개선으로 특정 품목의 1·2등급 비중이 과도해지면 제품별 변별력을 확보하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술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기준을 조정한다. 김치냉장고는 1등급 제품 비중이 60%를 초과한다는 점을 감안해 등급 기준을 상향했다. 이번 조정으로 현재 64.4%인 김치냉장고의 1등급 비중은 선진국 수준인 12.1%로 축소된다. 다문형 대형 김치냉장고 수요 증대를 고려해 제품 카테고리는 문 개수 3개 이하, 문 개수 4개 이상 등 ‘문의 개수’ 중심으로 바뀐다. 지금까지는 ‘김치저장 공간수’가 기준이었다. 이와 함께 소비자들이 냉장고(저장실) 크기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소비효율등급부여지표도 개선된다. 지금껏 제품의 최대 소비전력량을 월 소비 전력량으로 단순히 나눠 표기해왔지만, 앞으로는 월 소비 전력량을 제품크기(저장실 부피)로 나눈 지표가 표기된다. 1·2등급 제품 비중이 60% 수준에 육박하는 전기세탁기의 등급 기준도 상향된다. 이번 조정으로 29.2%인 전기세탁기의 1등급 제품 비중은 7.8%로 낮아지게 된다. ‘1kg당 소비전력량’으로 표시하던 라벨 표시 방식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EU 등 글로벌 규격 체계에 맞춰 ‘1회 세탁시 소비전력량’으로 변경된다. 에어컨 등에 비해 낮은 효율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냉난방기의 효율등급도 조정된다. 이번 조치로 현재 19.5%인 전기냉난방기의 1등급 제품 비중은 9.6%로 축소된다. 라벨 표기 방식은 냉방과 난방 중 낮은 등급 하나만 라벨에 표시하는 방식에서 냉방과 난방 등급을 각각 표시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모니터는 다양한 기능 추가로 대기 소비전력 뿐 아니라 사용중 소비전력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기전력저감 제도에서 관리하던 것을 효율등급표시제로 이관해 최저 소비효율기준을 신신설했다. 시행 시기는 업계 준비 등을 고려해 발효 후 1년으로 정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소비효율 강화 조치로 연평균 약 25.5GWh(기가와트시)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예상되고, 제조사들의 제품효율 혁신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효율 제품 확산 및 기업들의 제품효율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효율등급 기준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지구온난화 막으려면 연 7000조원 투자해야”
-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오는 2030년까지 에너지 전환에 전세계에서 연 5조7000억달러(약 7000조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지난해 12월 준공한 새만금 육상 태양광발전단지. (사진=새만금개발청)25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최근 ‘세계 에너지 전환 전망 2022 : 1.5도 경로’ 보고서를 내고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기로 한 파리협정 달성을 위해 2030년과 2050년까지 이행해야 할 목표치를 제시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50년 넷제로(탄소중립)를 달성하려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연 369억t(톤) 저감해야 한다. 이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는 △재생에너지 발전 및 직접 사용 △에너지 효율 향상 △전기차 등 전력 소비 부문의 전기화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 등 합성연료 사용 △CCS(탄소 포집·저장) △CCS 기반 바이오에너지(BECCS) 등을 제시했다.세부적으로는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태양광과 풍력 설비를 중심으로 2030년 1만770GW(기가와트), 2050년 2만7800GW로 각각 늘어야 한다. 이 경우 전체 전력 공급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6%에서 2030년 65%, 2050년 90%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반해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은 2019년 37%에서 2030년 11%로 감소한 뒤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될 것으로 예상된다.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연평균 투자액은 2019년 대비 2030년에 6배, 2050년에 9배씩 증가해야 한다. 이 경로를 따르면 최종에너지 소비는 2019년 대비 2030년 5%, 2050년 11% 감소하게 된다. 최종 에너지소비 중 전기화를 통한 소비 비중은 2019년 21%에서 2030년 30%, 2050년 50% 이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또한 그린수소와 블루수소 생산량은 2020년 80만t 수준에서 2030년 1억5400만t, 2050년 6억1400만t으로 증가하고, CCS 기술을 통한 총 이산화탄소 포집량은 2020년 4000만t에서 2030년 22억t, 2050년 85억t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이 같은 파리협정 이행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에너지 전환에 총 57조달러, 연간 5조7000억달러 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에너지 전환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인프라 구축, 인센티브 제공 등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