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쇄 화학반응
21일 과학계에 따르면 리튬이온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해질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이 맞닿지 않도록 분리해준다.
열 폭주의 원인은 다양하고 복잡하다. 열폭주는 크게 기계적 남용(충격, 압축 등), 열적 남용(고온 노출, 자체 발열), 전기적 남용(과충·방전, 단락)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오기용 한양대 미래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온도에 따라 구분하면 60도와 130도 사이에서 SEI(음극재 표면에 생기는 얇은 막)가 녹기 시작하면서 발열하고, 배터리 전체 온도 향상, 분리막이 녹는 온도(120~160도)까지 올라간다”며 “궁극적으로 양극, 전해질, 음극·전해질 등 배터리 요소의 연쇄 반응으로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지에 들어 있는 과산화물이 고체 산소라는 점, 가연성 유기 용매 연료가 내재됐다는 점은 화재 발생에 취약하게 만든다. 이 밖에 과충전이나 전지결함도 열폭주를 촉진할 수 있다.
정훈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저장연구센터장은 “열 폭주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과충전·방전시 양극재 특성이 변하고, 전해질과 반응해 가스가 발생하고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고, 열 폭주로 이어질 수도 있다”며 “값싼 배터리를 쓰거나 비정상적인 관리, 취급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소재 연구, 효율적 배터리 시스템 구축 등 시도
이러한 위협요소에도 국내 배터리 전문가들은 기술이 발전하면서 배터리 화재 발생 위험 확률은 줄어들고 있다고 봤다. 열 폭주를 막기 위한 연구도 활발하다. 국내외에서 내열성 분리막 코팅 공정 개발, 난연성 전해액 개발처럼 배터리 소재 개량이 추진되고 있다. 열 폭주 현상을 해석하고 열 폭주를 사전에 최적화 설계해 배터리 시스템을 개선하면서 안전한 사용법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결국 100% 위험 요소가 없는 전지 개발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취급에 유의하고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다. 예를 들면 좋은 양극재를 만들고 불연성 소재들을 적용할 수 있다. 불량을 낮춰 신뢰성을 높이고, 제조사가 부품 정보 공개를 통해 고객 신뢰도 확보해야 한다.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저장변환소재연구실 교수는 “미드니켈 양극재처럼 상대적으로 열 안정성이 우수한 소재를 양극체를 쓰기 위한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면서도 “소재를 고도화하면 화재 발생 정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완전히 낮추기는 어렵기 때문에 기술 개발이 계속 이뤄져야 한다. 무더운 여름철에 주차를 주의하고, 제조사가 정보를 공개하는 등 안전한 사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