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희진 KB증권 연구원은 27일 보고서에서 “경상수지에서 투자소득수지 비중은 2015~2019년 평균 1.2%에 불과했으나 2021~2023년 평균 36.6%로 급증했다”며 “현지시장 진출을 위한 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확대되며 2014년 3분기부터 플러스인 순대외금융자산이 배당소득 형태로 한국에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작년 경상수지는 354억9000만달러 흑자를 보였는데 흑자의 상당 부분이 상품수지 때문이지만 투자소득수지도 흑자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경상수지 내 투자소득수지가 개선되면서 투자소득이 창출되고 있다는 것은 그 만큼 해외에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권 연구원은 “금융계정상 직접 투자를 통한 외환유출이 배당, 이자 수취에 따른 유입보다 커 원화 절상 효과를 희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외환 수급 측면에서 첨단산업을 향한 제조업의 투자 기조 뿐 아니라 국민연금 등 주요 연기금의 해외 비중 확대 투자 전략도 외환수요를 높이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권 연구원은 “해외투자가 투자소득수지 흑자로 연결돼 올해도 본원소득수지 흑자 규모가 상품수지에 버금갈 소지가 있다”면서도 “올해 경상수지는 500억달러 내외를 기록하겠지만 경상수지가 환율을 낮추는 효과는 일부 희석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특허 출원건수 기준을 세계 4위지만 3위인 일본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기술집약적인 IT품목 수출이 증가하면 IP사용료수지가 커지는 특징을 갖고 있다. 기술선진국인 미국, 유럽연합(EU), 일본에 대해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는 적자인 반면 현지공장이 소재한 동남아시아에 대해선 흑자다. 중국은 게임, 통신 분야에서 자국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2022년 처음으로 대중국 적자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