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지난해 높은 소비자물가 부담은 중산층인 소득 중위 60%에게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 (사진=통계청) |
|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1년 및 2022년 가구특성별 소비자물가 작성 결과’에 따르면 균등화소득을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 소득 중위 60%의 지난해 연간 물가 상승률은 5.2%로 산출됐다. 이번 조사는 가구원수, 가구주연령 등 가구특성별 소비패턴 차이에 따른 물가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물가 통계를 각 가구의 지출 비중 등에 따라 재조정한 결과다.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1% 였던 점을 고려하면 중위 60%의 물가 부담이 전체 가구 평균보다 큰 셈이다. 같은기간 소득 하위 20%의 물가 상승률은 5.1%로 전체 가구와 갔았고, 상위 20%의 물가 상승률은 5.0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가구주인 가계의 물가 상승률이 5.3%로 가장 높네 나타났다. 다음으로 40∼59세(5.1%), 39세 이하(4.9%) 순으로 높았다. 가구주 연령대가 낮을수록 물가 부담이 작았던 것이다. 60세 이상 가구와 청년층인 39세 이하 가구의 물가 상승률 차이는 0.4%포인트였다.
지난해 9.7%가 상승한 교통비가 전 연령에서 가장 많은 물가상승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세 이상은 10.6%로 가장 높았고. 39세 이하도 8.8%로 가장 낮았다.
60세 이상은 이외에도 음식·숙박(7.8%), 주택·수도·전기·연료(7.4%) 등도 높게 나타났다. 40~59세는 음식·숙박(7.6%), 식료품·비주류음료(6.3%), 주택·수도·전기·연료(5.4%)가 올랐다. 39세 이하의 경우 음식·숙박(7.6%), 식료품·비주류음료(6.8%) 등이 많이 올랐다.
이밖에도 가구원 수로 보면 1인 가구의 상승률이 4.8%로 2인 이상(5.1%)보다 낮았다. 가구주가 근로자인 가구의 상승률은 5.0%로 근로자외 가구(5.2%)보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