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변함이 없었지만 월평균 소득 중간값에 못 미치는 한계중산층은 증가했다. 행복지수는 자치구별로 차이가 커졌다.
서울시는 15세 이상 서울시민과 거주외국인, 사업체 등 4만56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시민 2명 중 1명은 자신의 정치·경제·사회적 위치가 ‘중하’층에 속한다고 생각했다. 이같은 응답은 2008년(49%) 이후 매년 증가해 작년 51.7%를 기록했다. 중상층이라는 응답은 23%를 기록했다. 하상 18.3%, 하하 4.4%, 상하 2.5%, 상상 0.1%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에서 차별받을 가능성이 있는 요인(중복응답)에 대해서는 58.2%가 소득수준을 꼽았다. 교육수준에 따라 차별받게 될 것이라는 응답도 50.1%로 절반을 차지했다. 그 뒤를 직업(41.2%), 외모(13.2%), 나이(10.8%), 성별(9.8%) 등이 이었다.
다만 상대적으로 부유한 전형적 중산층(소득 중간값의 100~150%)보다 가구 월평균소득 중간값에 못미치는 한계 중산층(소득 중간값의 50~100%)이 많아졌다. 2008년 각각 32.7%와 32.5%로 균형을 이룬 반면 작년에는 27.4%와 37.8%로 변했다.
행복지수는 2005년 6.35점에서 2011년 6.65점으로 0.3점 상승했다. 건강상태, 재정상태, 친구와의 관계, 사회생활,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평균한 지수다.
자치구별로 서초구가 7.24점으로 가장 높았다. 용산구(7.15점), 동작구(7.06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가장 낮은 구는 강서구(6.03점)다. 강북구(6.10점)와 마포구(6.21점)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서울시는 이번 결과를 도시정책지표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오는 7월에는 ‘2011 서울서베이’ 보고서로 발간한다.
황종성 서울시 정보화기획단장은 “서울시민들의 생활상과 가치관을 반영해 서울시의 복지, 일자리 등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원자료(Raw data)는 공개해 학술 및 정책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서울시내 2만 가구(15세 이상 4만5605명), 거주외국인 2500명, 사업체 5500개를 대상으로 작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방문면접 방식(사업체는 우편·전화 등 활용)으로 이뤄졌다.
여론조사기관인 월드리서치와 미디어리서치에서 조사했으며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설계 및 분석을 맡았다.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가구주 ±0.69%p, 가구원 ±0.46%p, 외국인조사 ±1.96%p, 사업체 ±1.39%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