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중국국가박물관에서 열린 전시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뺀 한국사 연표를 전시해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 국립중앙박물관이 개막일 당일 중국 측으로부터 ‘연표’만 빠진 모든 제공 유물·자료 전시 사진을 받고도 아무런 확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사진=뉴스1). |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이 18일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전시물 대여 국외전시 현장점검’ 자료에 따르면 국립중앙박물관은 현장점검을 위해 중국 측으로부터 26장의 현장 사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한·중 수교 30주년, 중·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중국국가박물관에서 한·중·일 청동기전이 열렸는데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전시에 전시품을 대여했다. 이 과정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은 전시 개막일인 지난 7월 26일 중국 측에 현장 사진을 요청해 점검했다는 것이다.
당시 중국 측이 제공한 현장 사진 26장에는 유물 14건(15점)과 설명자료 등 국립중앙박물관이 중국 측에 제공한 모든 유물과 자료 모습이 담겨있었으나 논란이 됐던 한국사 연표만 빠져 있었다. 그럼에도 국립중앙박물관은 한국사 연표의 전시 포함 유무나 추가 사진 등을 중국 측에 추가로 요청하지 않았다가, 전시 50여 일 만에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김승수 의원은 “개막 당일 중국국가박물관 전시 현장 사진을 확인한 즉시 추가 조치만 했어도 중국의 동북공정 시도를 조기에 발견하고 저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중국만 믿은 실수’라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대국민 사과는 명백한 거짓이며 국민 기만 행위”라고 비판했다.
| 중국 베이징 국가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동방길금(동방의 상서로운 금속) - 한중일 고대 청동기전’에서 관람객들이 전시물을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