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고령화의 영향으로 ‘보건 소비’가 늘어나며 공공소비에서 차지하는 노년층의 비중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노년층의 적자 확대 폭이 유년층보다 큰 것으로 집계됐다.
|
26일 통계청의 ‘2022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총액 기준 노동 연령층(15~64세)의 흑자는 143조 9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2.3% 늘어났다. 반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유년층(0~14세)과 은퇴 이후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76조 8000억원, 162조 5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에 비해 노년층의 적자 폭은 11.4% 늘어나 유년층(10.5%)보다 컸다.
전체 국민의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뺀 ‘생애주기 적자’는 전년 대비 37.9%(53조 7000억원) 늘어난 195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노동소득(1168조 7000억원)이 전년 대비 6.3% 늘어났으나 소비(1364조 1000억원)는 9.9% 증가해 벌이보다 씀씀이의 증가 폭이 컸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전 연령층의 소비가 늘어난 가운데 유년층은 교육 소비가 많고, 노년층은 보건 소비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노동 연령층 중 55~64세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적자 연령대였지만, 2020년부터 흑자로 돌아선 이후 2022년에는 소득(221조 6560억원)이 소비(221조 6760억원)보다 빠르게 늘어 흑자 폭이 9조 98억원에 달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55~64세는 현재 취업률을 견인하고 있는 연령대인 만큼 코로나19 이후 이들이 노동 시장에 뛰어드는 경우가 늘어나며 이에 따라 총 노동소득 역시 늘어나게 됐고, 고령화에 따라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지난 2010년 이후 국민 1명이 흑자로 진입하는 연령은 첫 취업과 비슷한 27~28세로 일정했다. 그러나 적자에 재진입하는 연령은 2010년 56세였던 것이 고령화로 점차 높아지는 추세로, 2016~2018년까지 59세에 머물렀다가 지난 2019년부터는 6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인생 흑자 기간도 2010년(29년)과 비교하면 4년 늘어났다.
한편 각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적자는 노동 연령층이 벌어들이는 소득으로 충당된다. 노동 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98조 1000억원은 유년층(177조 4000억원)과 노년층(118조원)으로 이전됐다. 이를 부문별로 나누면 사회부담 등 공공부문 이전은 190조원이었고, 가족 부양 등을 위한 민간 이전은 108조 10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