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로 국내 수출·입 중소기업들의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 대금 미회수와 물류 중단, 수출 감소 및 원자재 수입 애로 등 다양한 형태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
대금결제는 러시아 은행 제재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배제 및 루블화 절하 등의 이유로 러시아 바이어가 대금결제를 지연하거나 거절하는 상황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자금 유동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기계 수출 B사는 러시아 공장에 계약된 장비를 선적해 출하를 진행하던 중 러시아 국책은행 및 국책은행의 자회사가 제재대상으로 지정돼 대금 지급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았다.
같은 업종의 C사 역시 러시아 바이어가 주문한 기계를 이달과 5월 말에 각각 선적해야 하는데 대금결제가 중단돼 자금경색을 우려하고 있다.
화장품 수출업체 D사는 러시아 바이어에 올해 총 30만달러(3억 7000만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맺고 1차로 8만달러(9900만원)분을 출하했다. 그러나 잔여 수주분의 출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물류 중단은 러시아행 항공과 해운이 통제돼 나타나는 어려움이다. 선적 대기 및 회항으로 인한 추가 비용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일부 수입 업체들은 원자재 수급에 난항을 겪기도 한다.
농산물을 수입하는 E사는 1년 물량을 계약한 후 7억원 규모의 대금을 선송금했다. 하지만 물류 중단에 따라 농산물이 미선적돼 언제 받아볼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중기부는 이런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피해 분야별 맞춤 지원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자금 압박을 받는 수출기업에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통한 융자 제공, 특례보증 신설·우대, 기존 융자·보증에 대한 만기연장 등을 지원한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 감소 기업을 대상으로 대체 거래선 발굴과 알선에 나서고 수출 다변화를 위한 정책 패키지도 실시한다.
물류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의 반송물류비, 지체료 등을 수출바우처 지원범위에 포함해 손해를 보전한다. 원자재 수급 난항 대책으로는 공급망을 모니터링해 부족 발생 시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통해 공동대응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 시 납품단가 조정제도를 활용할 계획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신고를 한 업체들 대부분이 자신들이 손해를 입고 있음에도 외부에 내용이 알려져 더 큰 피해를 볼까 우려하는 상황”이라며 “경각심과 긴장감을 갖고 섬세하게 접근해 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