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미르재단에 대한 보도 이후 9월에는 최씨의 존재를 적시한 후속 보도가 이어졌다. 이 때 K스포츠재단에 대한 의혹도 함께 터졌다. 청와대는 관련 보도에 대해 “일방적인 추측성 기사여서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부인했다. 박 대통령은 한 달여 만에 해당 입장을 번복, 최씨의 존재를 인정했다.
최씨 존재에 대한 물꼬가 트이자 주변에 대한 의혹이 잇따랐다. 최씨의 딸 정유라씨의 이화여대 부정 입학은 이번 사건을 눈덩이처럼 키운 도화선이 됐다. 정씨가 이대에 부정입학을 했고 재학 중에도 갖가지 특혜를 받았다는 보도가 쏟아지면서 정재계를 넘어 교육계까지도 불똥이 튀었다.
미르재단이나 K스포츠재단 모두 문체부 관할의 사업을 해왔다는 점에서 문체부에 대한 의혹은 걷잡을 수 없이 번져나갔다. 특히 정씨가 승마 특기생이었다는 점에서도 연관이 컸다. 10월에는 ‘문화계 황태자’로 불렸던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을 둘러싼 의혹이 제기됐다. 갖가지 사업에 특혜를 받은 정황이 포착됐다.
같은날 최순실 게이트를 걷잡을 수 없게 만든 최씨의 측근 고영태씨의 증언이 보도됐다. 고씨가 대통령 연설문을 고친다는 주장이었다. 이원종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은 “봉건시대에나 가능한 일”이라고 강력하게 부정했지만 5일뒤 최씨가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태블릿PC에서 대통령 연설문이 발견되면서 사태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11월초에는 차움병원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대통령에 대한 불법 의료시술이 행해졌다는 의혹이 떠올랐고 이선우 청와대 의무실장이 국정조사 과정에서 태반주사 처방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연관된 세월호 당일 행적에도 의심을 받고 있다.
대통령은 이 기간 동안 10월 25일과 11월4일, 11월 20일에 각각 대국민담화를 통해 사태 진정을 노렸지만 촛불민심은 10월29일부터 매주 뜨겁게 불타올랐다.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발의가 미뤄진 주말인 지난 12월3일에는 230만의 국민이 광장에 모여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