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한국형 3축 체계 대상사업 및 소요 재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10월 현재 방사청이 관리하고 있는 한국형 3축 체계 대상사업은 총 62개 사업이었다. 이 중 41.9%인 26개 사업이 2022년까지 구축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사업비도 57조 8817억원 가운데 2023년 이후 투입해야 할 재원이 13조 9038억원으로 분석돼 전체의 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62개 사업 중 26개는 2023년 이후 전력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킬체인(선제타격체계) 분야에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군 정찰위성 사업인 425사업과 정찰위성영상정보체계(임차) 사업이 2022년까지 전력화가 되지 않거나 사업 자체가 아예 무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타격자산에서는 △탄소섬유탄 △전술함대지유도탄(수직형) △장거리공대지유도탄2차(R&D) △GPS유도폭탄(2000lbs급) 4차 △복합유도폭탄이, 플랫폼 전력에서는 △KDX-II 성능개량 △해상작전헬기 △해상초계기-II △장보고-III Batch-I △장보고-III Batch-II △F-X 2차 사업이 2022년까지 전력화가 완료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분야에서는 △함대공유도탄(SM-3·SM-6)의 사업추진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 R&D 및 양산사업 △패트리어트(PAC-3)유도탄 △광개토-III Batch-II 사업 등이 2022년까지 마무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량응징보복(KMPR) 체계에서는 △특임여단능력보강 △특수작전모의훈련체계 △장보고-I 특수 작전 지원 성능개량의 사업기간이 확정되지 않았다. △UH/HH-60 헬기와 CH-HH-47D 헬기의 성능개량은 20년대 후반에, △해성2차 성능개량 △현무2차 성능개량 R&D 및 양산사업은 2020년대 중반에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
가령 전술지대지유도무기의 경우 국방중기계획 상 2022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지만, 올해 10월 확정된 2018년도 정부예산안에 전술지대지유도탄과 발사체를 저장·보호할 시설공사 예산 4억원이 삭감됐다. 미군용 GPS양산을 위한 착수금 6억원도 반영되지 않아 기존 2022년에서 2023년으로 전력화가 1년 지연된 것으로 확인됐다.
개발자의 입장을 고려치 않은 채 2022년까지 무리하게 구축 계획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다출처영상융합체계’의 경우 2018~2022 국방중기계획 상으로는 2021년까지 3년 만에 개발을 마쳐 전력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지만,소프트웨어 개발 위주 사업은 통상 4.5~8년 가량 소요된다. 3년 만에 완료된 선례가 전무하다는 게 방사청 사업담당자의 설명이다.
|
김학용 의원은 “우리 군의 독자적인 대응전력의 핵심인 3축 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미 연합방위를 주도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연계된 전시작전통제권 조기 환수 추진을 무리하게 추진하기보다 우리 군이 한반도 유사시에 단독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전력 구축에 더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