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지난 9월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문화재가 34건인 것으로 밝혀졌으나, 문화재청이 기후변화에 대한 문화재 관리 대책에는 늑장을 부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는 김윤덕 민주당 의원(사진=김윤덕 의원실). |
|
11일 국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김윤덕 의원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입수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까지 지난 10년간 풍수해로 파손된 문화재는 모두 519건에 달한다. 태풍 힌남노로 인한 문화재 파손은 34건으로 사적 26건, 보물 3건, 국가민속문화재 2건, 국보·천연기념물·등록문화재 각 1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태풍 피해가 컸던 경북이 17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9건, 경기 4건, 서울·제주 2건씩이었다. 피해 문화재에 대한 긴급보수 사업을 위해 41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이 지원된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날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김 의원은 “자연재해 중 풍수해는 문화재 손실이 클 뿐 아니라 피해가 반복되고 관리를 잘못하면 해당 문화재가 소멸에 이르는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면서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문화재 관리의 늑장 대응을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기후변화와 신종재난에 의한 옥외 문화재의 손상에 미리 대응을 하기 위해 △위험인자와 손상의 메커니즘 규명 △예측 및 모델링기술의 개발 △위험도 평가도구의 개발 △기후변화 및 재난대응 종합 시스템의 구축 등 단계별 접근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번에 집중적으로 문화재 재난 피해가 발생한 곳이 경상·제주 지역인데 이 지역은 문화유산 3차원 DB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던 곳”라며 “해당 사업을 좀 더 신속하게 완료했다면 재난에 대한 대비 시뮬레이션도 가능했고, 재난 사태 발생 후 문화재 복구 시 좀 더 원형에 가깝게 효율적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0년간 문화재 재난 현황을 보면 총 608건의 재난 중 85%에 해당하는 519건이 풍수해에 따른 피해였다. 김 의원은 “점차 자연재해의 강도가 높아져 문화재의 완전 파손이 매우 심각하게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재해 유형별 연구를 비롯해 대응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