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원 관리로 발생량을 직접 감축한다. 분뇨의 퇴·액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농가에 온실가스 저감 설비를 56%까지 확대 보급하며, 분뇨의 정화처리 비중을 25%로 늘리고 에너지화 시설을 30개소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0년에는 연간 220만톤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추산했다.
또 일반사료 대비 온실가스 저감을 할 수 있는 환경사료 보급을 통해 메탄, 이산화질소 등을 통해 연간 75만톤의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한다. 한우 사육기간 단축, 어미돼지 생산성 증가 등 축종별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서도 연간 24만톤의 탄소 배출을 줄인다. 이같은 대책을 통해 2030년 예상배출량 1100만톤보다 30% 가량 줄어든 770만톤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는 2018년(940만톤) 대비 18% 줄어든 수치다.
현장의 고투입 가축 사육 관행을 저투입, 저배출 구조로 전환해 나간다. 스마트 장비와 솔루션을 전업농의 30% 이상 보급하고, 축산과 경종을 연계한 자원순환 농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농식품 부산물의 사료화를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2030년까지 축산농가의 시설개선, 분뇨처리 방법 개선, 스마트축산 확산 및 축산농가 인센티브 지급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농가와 소비자 단체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관합동 거버넌스를 구성해 저탄소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도 해소할 계획이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경종분야와 달리 축산물 소비 증가에 따라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번 대책을 계기로 우리 축산업이 고투입 관행, 가축분뇨 문제 등을 개선해 신뢰받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