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문화재청이 전국에 있는 비지정 역사문화자원 현황 파악을 위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동안 지역별로 단계적인 전수조사를 시행한다.
비지정 역사문화자원은 등록 문화재는 아니지만 문화재로서 가치가 있는 문화자원을 의미한다. 문화재청은 지정·등록 문화재 중심의 보호체계가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포괄적 문화재 보호체계를 도입하기 위해 이번 전수조사 시행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조사 대상은 지상에 노출돼 훼손·멸실 우려가 큰 비지정 건조물과 역사유적이다. 사업 1년 차인 올해는 비지정 역사문화자원이 많을 것으로 관측되는 대구·경북·강원 지역을 우선순위로 조사한다. 문화유적 발굴조사 정보를 모은 ‘문화유적분포지도’에 따르면 유물 7만 건 중 2만 건이 해당 지역에 분포돼 있다. 특히 대구에는 근대 골목길 위주로 근대 문화유산이 있으며 경북에는 안동·경주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민속마을·고택 등이 다수 남아 있다.
이번 사업의 주요 목표는 그간 문화재청을 비롯해 공공·민간에서 조사한 비지정 문화재 관련 자료들을 일관된 양식의 통합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자원’이라는 넓은 개념을 도입했고, 조사 내용 면에서는 역사문화자원의 물리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사회적 정보까지 포함한 종합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상하고 있다. 또 현장조사를 통해 기존 자료의 오류 여부도 검증하고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근대문화유산 등 신규 역사문화자원 발굴도 함께 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규제 중심의 지정문화재 보호제도의 틀을 벗어나 지역의 특색 있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현장조사 과정에서 코로나19 감염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사원을 대상으로 사전 방역 교육을 시행하고 표준화된 조사 매뉴얼을 통해 조사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대구 계산동 이상화고택(사진=문화재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