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 개헌특위(위원장 주광덕)가 이날 오후 국회 도서관에서 연 ‘개헌 대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선 박명호 동국대 교수는 먼저 “한국의 현재 민주주의는 다수결 민주주의의 최악형으로, ‘독점의 정치’”라고 정의내렸다. 박 교수는 이 ‘독점의 정치’가 ‘제왕적 대통령제’로 대변된다고 지적하고, 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분권형 개헌에 대한 정치권과 국민, 정치권 내 이해를 반영해 실현 가능한 정부형태 중 하나는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분권,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것”이라며 “지금처럼 대통령제를 내각제적으로 운영하지 말고, 국회권한과 기능강화는 물론 권력분립의 원칙을 확실하게 실현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모든 고위공직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를 실시해 동의를 받도록 하고 △대통령의 국가원수직을 폐지해 대통령이 국회와 대등한 국가권력의 수반임을 분명히 하며 △감사원을 국회로 이관하고 △정부의 법률안 제출권을 폐지하는 등의 권력분립 방식을 제안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정종섭 의원은 대통령제와 내각제의 혼합형에 무게를 뒀다.
정 의원은 “대통령제에서 손을 떼야 승자독식 등 거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며 “1960년대에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내각제를 해봤지만 여러 상황 때문에 실패했다. 그래서 특히 분단국가에서 내각제를 채택하면 망한다는 사고를 갖고 있지만, 60년대 선배들이 시도한 걸 우리는 왜 시도하지 못하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대통령제를 포기하려면 답은 내각제이고, 대통령제와 내각제를 혼합한 걸 분권형 대통령제라고 부르든 이원집정부제라 부르든 이를 통해 대통령제를 극복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역설했다.
가상준 단국대 교수도 “선거제 개혁을 통해 다당제를 가능케 함으로서 정당 간 연정과 연합을 통한 정부 구성이 이뤄지도록 하고, 중요 사안에 대해 정당간 타협과 협상이 이뤄지지 못하면 선거로 국민 뜻을 묻는 의원내각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가 교수는 “의원내각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존재하고 있지만 대통령제 폐해를 해결하는 가장 근원적인 방법이 의원내각제라는 점에서 한국당이 이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건 개헌의지를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