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8월까지 K-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 원자력을 포함해 이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고정하고 올 12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를 반영해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 재개와 고리 2호기 계속운전(수명연장)을 비롯한 복(復)원전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탈원전 정책은 폐기하되 탄소중립 목표와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등 상당 부분은 현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계승한 측면도 있었다.
“재생에너지-원전 조화한 합리적 에너지믹스 구성”
12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위원회 기후·에너지팀이 공개한 ‘국민을 위한 탄소중립 전략보고서’는 아직 큰 틀에서의 5대 정책방향만 담았으나 핵심 방향성은 다 담았다.
원전을 탄소저감의 주요 수단으로 재등장시킨 게 가장 큰 변화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비롯한 탄소중립 정책을 유지하되 여기에 원전을 끌어들이겠다는 것이다.
김상협 인수위 기획위원회 상임기획위원(기후·에너지팀장)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큰 비용과 위험을 수반하는 만큼 원자력 금기를 해체해서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모든 기술을 테이블에 올려놓겠다는 것”이라며 “24시간 가동하는 원전 같은 기저발전 토대가 있어야 재생에너지 발전도 이를 믿고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전력시스템의 혁신처럼 재생에너지 확대 기반을 다지는 내용도 담았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인 전력시스템 혁신, 이른바 스마트 그리드를 언급한 것은 현 정부도 그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관련 정책이 잘 이뤄진다면 재생에너지 확대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작년 탄소배출 오히려 4.16% 늘어…탈원전 정책 탓”
인수위는 원전의 재등장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현실적 필연이라고 봤다. 최근 탄소배출량이 오히려 늘었다는 게 그 근거다.
인수위가 관계부처 업무보고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2021년) 온실가스(탄소) 배출량은 6억7600만t으로 전년(6억4700만t)보다 4.16% 늘었다. 올해 역시 1.3% 늘어난 6억8500만t로 전망된다. 2018년 7억2700만t보다는 여전히 낮지만 작년 11월 국제사회에 공언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작년 10월)에는 역행하는 결과다.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크게 줄어든 탄소배출량이 지난해부터 다시 늘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
인수위는 이로 인해 탄소배출이 늘어난 것은 물론 정부와 국민의 비용 부담도 5년 동안 13조원 가량 늘었다고 추산했다. 제조원가가 싼 원전 비중을 줄이고 이를 비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이나 재생에너지발전으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이게 한국전력(015760)의 적자 누적과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국민 부담으로 이어졌다는 게 인수위의 설명이다.
정치 쟁점화는 경계…“현 정부 정책 이어 받을 것”
인수위는 다만 새 정부의 정책이 현 정부의 정치 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에 대해선 경계했다. 인수위는 그러나 새 정부의 기후·에너지정책이 현·차기 정부의 정치적 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에 대해선 우려했다. 탄소중립이란 큰 틀에서의 목표를 공유한 채 그 수단만 좀 더 과학적이고 현실적으로 보정한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때마침 하루 전 차기 정부도 탄소중립 정책의 근간은 변함없이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했었다.
|
김상협 상임기획위원은 “어제 발표에 각을 세우는 게 아니라 오히려 이어 받는다는 것”이라며 “탄소중립은 정당과 정권을 넘어선 통합과 협치의 대상이고 새 정부도 현 정부와 그 뜻과 방향이 같다”고 말했다.
조성경 명지대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는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라며 “정부의 에너지정책이 정상적으로 가려면 정치 이슈에서 빠져나와 국가의 미래와 국민의 현실을 지켜내는 방향으로 가야 하며 현재로선 방향성을 잘 담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