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글로벌 럭셔리 시장, V자 반등…전년대비 13.5% ↑"

럭셔리 시장을 이끄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
국내 시장 58억달러…2024년엔 70억달러 넘어설 것
MZ세대 럭셔리 소비층 확대…라이프스타일 전반 확장
  • 등록 2022-05-25 오후 5:05:14

    수정 2022-05-25 오후 5:05:14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글로벌 럭셔리 시장 규모가 2021년 2942억 달러(약 374조 원)로 전년대비 13.5% 성장하며 V자 반등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MZ세대가 럭셔리 시장의 주력 소비계층으로 부상하면서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다.

삼정KPMG가 25일 발간한 보고서 ‘럭셔리 시장을 이끄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럭셔리 시장은 58억달러로 전년대비 29.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2024년에는 7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글로벌 주요 국가의 럭셔리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미국이 641억 달러 규모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중국(427억 달러)과 일본(260억 달러), 프랑스(151억 달러), 영국(135억 달러)이 뒤를 이었고, 한국(58억 달러)은 10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주요 백화점의 해외유명브랜드 매출 증감률은 37.9%, 전체 품목은 24.1%으로 집계됐다. 해외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삼정KPMG는 “해외여행 제한이 지속되면서 명품 구매 수요가 백화점으로 집중되고 보복소비 성향이 두드러진 데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로 △MZ세대의 럭셔리 소비층 확대 △온라인 플랫폼 경쟁 심화 △리테일 시장 활성화 △디지털 럭셔리 부상을 제시했다.

MZ세대가 새로운 럭셔리 소비층으로 자리잡으면서 컨템포러리 브랜드가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로 대표되는 클래식 럭셔리 브랜드를 위협할 신(新)명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 럭셔리 영역이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어, 럭셔리 브랜드 기업은 키즈·펫·리빙 등으로 카테고리를 다변화하고 있으며 레스토랑·카페를 오픈하는 등 소비자 니즈에 대응하고 있다.

글로벌 럭셔리 시장에서 온라인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22%로 브랜드숍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온라인 럭셔리 시장은 파페치, 마이테레사와 같은 럭셔리 플랫폼이 주도해왔으나 최근 아마존과 알리바바 등 이커머스 기업과 럭셔리 브랜드 기업이 시장에 진출하며 플레이어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아울러 럭셔리 브랜드 기업들이 Z세대를 미래 소비자로 확보하기 위해 디지털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구찌, 발렌시아가 등 럭셔리 브랜드 기업들은 대체불가토큰(NFT)·증강현실(AR)·가상현실(VR)·3D 등을 활용해 메타패션, 디지털 런웨이, 디지털 아트워크 등 3가지 형태의 디지털 럭셔리를 전개하고 있다. 보고서는 디지털 럭셔리 확대 배경으로 배타성·희소성·성장성을 꼽으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럭셔리 브랜드 기업을 둘러싼 시장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료=삼정KPMG
한편, 럭셔리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며 럭셔리 섹터가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다. 사모펀드 및 벤처캐피털 등 글로벌 투자자들은 2017년부터 브라이틀링, 블루나일, 티파니 등 높은 브랜드 가치를 지닌 럭셔리 브랜드 기업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왔다.

최근에는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 기업에 특히 주목하고 있는 모습이다. 유럽 기반의 럭셔리 리세일 플랫폼 베스티에르 콜렉티브, 명품 시계 리세일 플랫폼 와치박스를 비롯해 다수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이 수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아울러 파페치, 더리얼리얼, 마이테레사 등 주요 럭셔리 플랫폼은 기업공개(IPO)에 성공해 투자자금을 확보하고 서비스 영역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삼정KPMG 재무자문부문 김유미 상무는 “국내 럭셔리 관련 기업들이 급변하는 럭셔리 시장 환경에 대응하여 시장의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며 “럭셔리 소비자의 오프라인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면서 온라인 접근성을 높이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접근 전략을 추구해야 하며, 럭셔리 리세일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자사 비즈니스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리세일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도 힘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디지털 럭셔리가 부상하고 가상공간에서의 브랜드 경험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깜짝 놀란 눈…뭘 봤길래?
  • "내가 몸짱"
  • 내가 구해줄게
  • 한국 3대 도둑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