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은 총재는 31일 ‘2022년 신년사’를 통해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에 작년 기준금리를 연 0.50% 수준까지 내렸다가 올 두 차례 인상, 연 1.00%로 높였는데 여전히 경기 상황에 비해 금리가 낮아 내년에 추가로 올리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경기 회복에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경기 개선에 맞춰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한은이 최근 발표한 2022년 통화신용정책 방향에서 나왔던 표현과 일치한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금융불균형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의 영향을 함께 짚어가며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종전보다 물가에 대한 우려가 더 깊어졌다. 그는 “그간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하여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잘 살펴봐야 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공급차질, 기후 변화 대응으로 높아진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 “주요국간 경쟁과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글로벌 가치사슬이 크게 변화하고 우리 경제와 교역비중이 높은 중국 경제는 구조변화를 겪으면서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늘어나고 있다”고 짚었다. 대내적으론 방역 조치 강화에 따른 대면서비스업의 어려움, 경제주체들의 늘어난 채무가 고민거리도 지적된다.
이 총재는 “과잉부채와 같은 우리 내부의 약한 고리는 대외환경이 악화될 때 위험에 노출되기 마련”이라며 “지금과 같이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우리의 취약점을 냉정한 눈으로 미리 찾아서 적극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과 관련한 기술적·제도적 연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 총재는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급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 기업 등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지급결제 혁신 과정에서 사회적 계층의 현금 접근성이 제약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인구구조 변화, 불평등 확대, 기후변화 등 중앙은행으로서도 외면할 수 없는 사회·경제적 중요 어젠다들을 통화정책 운영에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지 적극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기후변화는 당면 과제인 만큼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은이 가진 정책수단을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성장잠재력에 대해선 “혁신 생태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인프라를 속도감 있게 정비하고 기초 연구개발(R&D) 투자 등 민간이 전적으로 담당하기 어려운 부문에 대해 과감한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