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65세 이상 어르신의 일반적인 이용패턴과 다른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사용자 추정모델’을 만든다고 밝혔다. 시는 모델에 기반해 부정사용으로 추정된 교통카드에 대해 앞으로 이용지점, 시간대를 예측해 기획단속에 나설 계획이다.
경로·장애인·유공자 우대용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부정승차자는 매해 증가하는 추세다. 2013년 1만 6503건 수준이던 부정사용건수는 지난해 2만 1513건에 달했다. 지하철운영기관에서는 특별단속반을 꾸려 전 역사 대상 불시단속에 나서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역무원에게만 의존해야하는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시는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부정사용자 추정모델 구축을 위해 경로 우대용 교통카드 데이터 한 달 치를 분석했다. 이용자 180만 명, 3859만 건에 달한다. 이 중 전형적인 ‘직장인 패턴’으로 지하철을 이용한 우대용 교통카드 데이터를 추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거지와 근무지를 아침, 저녁 반복적으로 오가고, 근무지(추정) 체류시간이 9시간 이상인 ‘직장인 이용패턴’이 평일 15일 이상 나타나는 이용자가 지난해 11월 한 달 동안에만 1만 8000명이 넘었다. 이 중 80%가 부정사용자일 경우 운임손실은 연간 112억에 달한다. 낮 시간대 주로 이용하고 평균 외출시간이 5시간 미만인 65세 이상 어르신의 일반적 이용패턴과 상이한 대표적 유형이라고 판단했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부정승차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 단속은 여전히 역무원의 눈썰미에 대부분 의존하는 실정”이라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단속을 통해 우대용 교통카드가 어르신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제고라는 본래 취지에 맞게 쓰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