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2,941건
- 주식 팔면 이틀뒤 입금…2021년인데 아직도 T+2가 맞을까
-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T+2 시스템을 없애면 담보금이 필요가 없어진다. 2021년에 사는데 언제까지 이래야 하는가. 거래는 실시간으로 해야한다”게임스톱(게임스탑·GME)을 매수했던 개인 투자자들을 옹호한 차마스 팔리하피티야(Chamath Palihapitiya) 소셜 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지급결제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미국 암호화폐 투자 회사 갤럭시 디지털의 창업자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등 일부 시장 관계자들도 주식을 사고파는 과정이 이틀이나 걸린 탓에 이번 GME 사태에서 일부 개인이 피해를 봤다고 주장한다. 이후 국내 주식 커뮤니티에서도 ‘주식 매도 후 돈이 들어오는 데 이렇게 긴 시간이 걸리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비슷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안정성과 편의성을 고려할 때 아직까진 T+2 결제 제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평가했다.(그래픽= 김정훈 기자)◇ 국내도 ‘거래증거금제’ 시행 중 지난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미국 개인투자자들이 이용하는 주식 온라인 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로빈후드의 블래드 테네브(Vlad Tenev) CEO는 게임스톱 등 일부 주식 종목의 매수를 제한한 이유에 대해 해명했다. 그는 음성 소셜미디어(SNS)인 클럽하우스에서 일론 머스크(Elon Musk) 테슬라 CEO와 개설한 방에서 “우리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며 “우리는 규제 요건을 따라야 했다”고 말했다. 게임스톱의 주가가 기로에 선 시점에서 매수를 금지해 논란이 일었던 데 대해 의도적인 게 아니었음을 항변한 것이다. 로빈후드는 미국 증권청산소(NSCC)로부터 변동성 확대를 이유로 거액의 증거금을 요구받았고, 유동성이 제한된 상황에서 문제의 종목인 게임스톱 매수부터 정지했다.국내서도 지난 2017년부터 한국거래소가 증권사로부터 증거금을 내도록 하는 거래증거금제를 시행하고 있다. 당시 파생상품에 한정했던 것을 코스피, 코스닥 등 현물시장에까지 범위를 넓혔다. 증거금 비율은 분기별로 정하는 정기변경과 시장 변동성 확대 시 적용 가능한 수시변경이 있다. 가장 최근 수시변경된 경우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코스피가 급락했을 때다. 이에 국내 증권사들은 당시 평소보다 더 많은 증거금을 냈다. 미국의 로빈후드가 NSCC로부터 더 많은 증거금을 요구받은 것과 같은 이치다. 차마스 등 미국의 유명한 투자자들이 T+2 결제일 제도를 비판한 건 이 거래증거금제가 나올 수 있는 근본적인 기틀이기 때문이다. ◇ CCP 거치는 방식, 이연 기간 길수록 결제 리스크↑지급결제제도는 자금의 이체 또는 금융상품을 결제할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말한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고 그 값을 치르는 과정 이면엔 택배를 통해 물품이 구매자에 배달되며 판매자는 돈을 받는 일이 이뤄지는 것과 비슷하다. 총 지급-청산-결제, 3단계로 구분된다. 은행 계좌이체 업무를 예로 들면 지급은 개인 고객이 모바일 등을 통해 A은행에서 B은행으로 이체를 실행한 것에 해당한다. 청산은 해당 영업일 기준 A와 B은행을 통해 거래한 고객 전부의 계좌이체 금액을 합산하는 과정이다. 금융결제원이 은행들의 청산자료를 취합해 다음날 한국은행에 보내면 실제 돈이 움직이는데, 이게 결제다. 실생활에서 계좌 이체 시 돈을 바로 입출금할 수 있는 건 은행이 여윳돈을 잠깐 내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지, 실제 돈의 이동은 거래 당일과 다음날(T+1), 총 이틀에 걸쳐 진행됐던 것이다. 여기서 업무를 총괄하는 금융결제원은 중앙청산소(CCP)로 불린다.금융결제원을 거치지 않고 A와 B 은행끼리 직접 청산한 내역을 실시간으로 교환(실시간총액결제·RTGS)하면 돈의 이동에 걸리는 시간이 절약될 것이다. 이 경우 결제가 늦어지진 않겠지만, 시중 은행 수는 2개보다 더 많아 거래 횟수는 급격히 증가하는데다 상당히 많은 돈을 확보해 놓고 있기도 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론 불가능하다. 이에 거래 횟수와 규모를 줄이며 중앙에서 통제하는 CCP인 금융결제원이 필요하고 유동성이 덜 요구되는 이같은 방식(이연차액결제·DNS)이 현실에선 사용된다. 그러나 실시간 교환과는 반대로 결제가 이연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연은 리스크를 낳는다. 돈을 전달하기로 약속했지만 그 과정에서 만에 하나 거래상대방인 은행이 파산한다면 금융결제원이 돈을 받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과정이 길어질수록 금융결제원이 불안해하는 기간도 길어진다. 이연 기간이 길수록 결제 리스크가 커지는 셈이다. ◇ T+2 없다면 결제 리스크도 없고 증거금도 없다주식시장에서 CCP는 한국거래소다. 거래소는 대표로, 장이 시작하고 마감하는 동안 각 증권사 계좌에서 일어나는 거래를 모두 청산한다. 수급의 한 축인 외국인 투자자의 시차 등을 고려할 때 청산 작업은 다음날 오전이 돼서야 마무리된다. 채권/채무 내용이 확정된 결제자료가 마련되면 이를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은행에 보낸다. 예탁원과 은행은 각각 증권과 대금 결제를 동시에 진행한다. 이 과정이 총 3영업일(T+2)이 걸리는 것이다. 증권사는 은행과 같은 유동성이 없기 때문에 자기 자금을 고객 계좌에 지급하기엔 무리가 있다. 실제 결제가 이뤄지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어 주식 매도 후 이틀 후에나 대금을 인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또한 이 과정에서 한국거래소는 앞서 말한 거래증거금을 증권사에 요구한다. 지급일 이후 혹시라도 증권사가 파산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것, 즉 결제 리스크에 대한 일종의 보험인 셈이다. 바꿔 보면 지급결제 기간이 짧다면, 혹은 없다면 결제 리스크도 없고 증거금을 요구할 필요도 없게 된다. 차마스 등 미국의 투자가들이 T+2 시스템을 ‘로빈후드의 게임스톱 매수 버튼 금지 사건’의 원흉으로 본 이유다. ◇ 기술적으론 T+0도 가능기술적으로는 T+2는 T+0까지도 바꿀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견해다. 실제 미국과 유럽은 지급결제 제도 기간을 단축한 바도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2014년 3월, 업계 의견을 수렴한 결과 결제 주기를 T+3에서 T+2로 단축하기로 결정하고 2017년 3분기부터 시행했다. 당시 SEC는 점진적으로 T+1까지 단축하겠다는 내용을 밝히기도 했다. 유럽은 지난 2014년 10월 통합 과정에서 국가마다 다른 결제 주기를 T+2로 통합하고 2015년 1월부터 시행 중이다. 국내서도 정부 차원에서 ‘결제주기가 단축되면 금융투자고객이 투자자예탁금을 그만큼 빨리 인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금융투자 고객의 재산권이 강화’된다는 점에서 결제주기 단축이 논의된 적이 있다.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에서 논의되는 것을 보면 기술적으로 T+1, T+0이 가능한데, 전산구축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점 등으로 실현이 안되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거대대금은 시간이 걸리지만 주식은 실시간 양수도가 가능하며 실제 2000년대 초 금융당국이 결제주기를 T+1로 단축하는 방안을 고려한 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도 은행 소액결제가 T+1이기도 한 등 주식시장도 충분히 단축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불록체인 활용, 불필요한 요소 안고 굳이 도입할 필요 없어”그럼에도 T+2 시스템이 현재로선 가장 이상적인 제도로 평가된다. 지급결제제도는 효율성과 함께 안전성을 담보해야 하는데, 이를 고려할 때 2영업일 후 결제가 적절하단 것이다. 이밖에 이 연구위원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면 지금의 중앙집중식을 해체함으로써 실시간 거래 체결이 가능하단 일각의 주장은 현실성이 없다고 일축하기도 했다. 현재의 CCP를 활용한 지급결제 방식으로도 T+0가 기술적으로 가능할뿐더러, 효율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비용을 차치하고서라도 기술적으론 T+0이 가능하지만, 미결제 거래가 있는 등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정성 차원에서 T+2가 가장 적당해 보인다”라며 “블록체인 기술을 지급결제에 도입한다는 얘기가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니나 번거롭거나 기술적으로 불필요한 요소를 안고서 굳이 도입할 필요는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고객의 증권계좌를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으로 관리하고 사용할 가상통화도 만들어야 하며, 주식거래 대금이 폭증할 경우 소화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는 등 T+0으로 갈 거면 차라리 지금의 중앙집중방식이 더 나아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 박영선 “1兆 규모 펀드 조성 및 21개 혁신 클러스터로 일자리 창출”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3일 “1조 원 규모의 서울시 대전환 펀드를 조성하고 21개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역동적인 창업 생태계 대전환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캠프에서 다섯번째 정책 발표회를 열고 있다.(사진=박영선 예비후보 캠프)박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캠프에서 연 다섯 번째 정책 발표회에서 “서울을 글로벌 디지털 경제수도로서 블록체인과 프로토콜 경제 허브도시로 만들겠다”며 이같이 밝혔다.그는 “서울시와 산하기관이 출자해 5000억 원 규모의 서울시 모태펀드를 조성하고, 민간자금과 합쳐 1조 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겠다”며 “혁신클러스터 입주기업, 창업 초기 기업, 소셜 벤처, 여성 벤처 등 기존 민간의 투자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집중 투자해 벤처의 새싹을 키우겠다”고 말했다.‘21개 혁신클러스터’는 홍릉·창동의 바이오 및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와 상암동 실감 미디어, 목동 소프트웨어 및 스포츠, 마곡 R&D, 구로·금천 게임산업 및 구독경제, 신림·동작 첨단기술 사업화, 양재·서초 R&D 시티, 광화문·성북·중구 문화컨텐츠, 용산 스마트팜, 서대문·은평 의료 및 헬스케어, 영등포 스마트메디컬, 여의도 핀테크, 성수동 사회적기업, 강동 재생 엔지니어링, 송파 MICE·ICT 보안, 강남 블록체인, 광진 교육·보육, 강북 도심 스마트공방, 동대문 패션 유통 온라인 K-sale, 중랑 패션 제조 및 업사이클링, 중구 도심형 산업으로 특성화했다. 이와함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KS-코인과 프로토콜 경제 허브도시도 제안했다. 원화에 기반을 둔 디지털 화폐로 서울을 블록체인과 프로토콜 경제의 허브 도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이어 청년 인재 육성을 위한 서울시 창업·벤처 아카데미 운영 및 KS-콜라보 글로벌 육성센터 설치도 약속했다.박 전 장관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 있으면서 작은 것을 연결하는 강한 힘,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을 위해 기울인 노력은 코로나19에도 대한민국의 창업ㆍ벤처 기업을 대한민국 경제의 주역으로 성장, 발전 시켰다고 자부한다”면서 “서울시를 디지털시대 블록체인·프로토콜 경제의 허브도시로, 나아가 세계 글로벌 디지털 경제수도로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 한국은행 "경기회복 기대 커지나 감염병 진정에 상당기간 소요"
-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은 세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으나 코로나19 감염병 진정에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은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통해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는 가운데 주요국에서 적극적인 경기부양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국내총생산(GDP)의 9.1%에 달하는 1조9000억달러의 부양책이 추진되고 일본에서도 대규모 부양책이 추진중이다. 이에 따라 주가 등 자산가격이 오르고 인플레이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다는 평가다. 한은은 “코로나19 변이가 발생한 데다 백신 접종 양상, 집단 면역 형성 시기에도 불확실성이 커 감염병 진정에 상당 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정 국가내에서 감염병 확산이 진정되더라도 국가별 감염병 전개양상이 상이함에 따라 국가간 이동 제한이 지속될 소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한은은 “국내 경제 회복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해 나갈 방침”이라며 “코로나19의 전개와 백신보급 상황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흐름,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변화에도 한층 유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또 한은은 “국내 경제 여건에 적합하도록 ‘고용안정’ 책무를 추가하는 등 한은의 역할 확대와 관련한 이슈를 심도있게 검토해 국회에서의 관련 논의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한은법의 한은 설립 목적 조항에 ‘고용안정’을 추가할 경우 기존 물가안정, 금융안정 목표와의 상충 발생 가능성, 금융위기 이후 성장과 고용 간 관계 및 통화정책의 고용파급 효과 점검 등을 검토하겠단 취지다. 추가경정예산 편성으로 인해 국채 발행 증가로 시장이 불안해질 경우 시장안정화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한은은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금리 변동성 확대 등 불안 조짐이 나타나는 경우 국고채 매입 규모 및 일정을 공표하는 등의 시장안전화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이와 함께 한은은 금융안정의 조기경보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은은 “국제회계기준 변경 등 규제 여건 변화를 반영해 통합스트레스 테스트 모형(SAMP)을 현실성 있게 개편하고 기후 변화, ESG 투자 증대,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의 금융시장 진입 확대 등이 금융시스템에 초래할 수 있는 주요 리스크 등을 분석하는 등 구조적 금융안정 여건 변화에 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내년 상반기 중 경제통계시스템(ECOS)를 이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재구축할 방침이다. 한편 한은은 내달말까지 외부컨설팅을 통해 디지털화폐(CBDC)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 하반기 중 가상환경에서의 테스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한은은 디지털화폐연구팀 및 기술반 등 별도의 전담조직도 구축한 바 있다. 국제기구의 글로벌 복수통화 지급결제시스템에 원화를 참여시키는 방안도 추진한다. 한은은 “새로운 지급서비스 확산, 핀테크 기업의 지급서비스 시장 참여 확대 등 지급결제 환경 변화가 결제리스크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핀테크 주도 간편결제 등 지급서비스 통계 개편 및 대외 공표, 오픈뱅킹공동망 운영체계 정비 등 대응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외환보유액 운용시 국내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를 적극 활용,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지원할 계획이다. ATM 설치대수가 감소, 금융소외계층이 현금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정부와 함께 ATM 운영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은 직원의 전문성 강화 및 역동적인 조직으로의 변화를 위해 연내 중장기 경영인사 혁신 방안을 마련한다.
- [위클리 코인]블랙록도, 빌게이츠도 돌아섰지만…너무 가파른 랠리
-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시장 랠리가 매섭다. 미국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부양 기조에다 늘어나는 기관투자가와 대표 기업들의 비트코인시장 진입이 가격 상승랠리를 부추기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달러화로 거래되는 주요 거래소 시세를 평균한 코인마켓캡에서는 비트코인이 가격이 드디어 5만5000달러를 넘어서며 시가총액이 무려 1조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하는 신기원을 세웠다. 특히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에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자 `인플레 헤지` 차원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수요가 더 늘어나는 모양새다. 최근 1주일 간 비트코인 가격 및 시가총액 추이 (코인마켓캡)전 세계 자산운용시장을 호령하는 `자산운용 공룡` 블랙록이 비트코인 투자에 나서고 있는데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주도 비트코인에 대한 비관론을 접었다. 다만 가파른 상승랠리에 투기와 그에 따른 버블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여전했고, 특히 미국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Fed)에서는 지속적으로 경고의 메시지도 나오고 있다. ◇美기업 열곳 중 한곳 “3년 내 비트코인에 투자” 미국 내 주요 기업들 가운데 5% 정도가 연내 회사 보유현금을 활용해 비트코인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또 기업 10곳 중 1곳 이상은 앞으로 3년 내에 비트코인에 투자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글로벌 조사분석업체인 가트너그룹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미국 내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중 5% 정도가 “올해 안에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비트코인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또 11%의 CFO들은 “2024년까지 비트코인에 투자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특히 IT기업들의 경우 비트코인 투자 가능성을 매우 높게 봤다. IT업계 CFO들 가운데 50%는 “연내에 비트코인에 투자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CFO 84%는 “비트코인의 높은 가격 변동성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투자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또한 상당 수는 향후 금융규제당국이 비트코인에 대해 어떤 규제를 할 것인지에 대해 걱정하고 있었다. 그 밖에 부족한 위험 회피(39%), 교환이나 지불 방식에서의 더딘 진전(38%), 이해 부족(30%), 해킹 및 보안상에서의 위험(25%), 번거로운 회계 절차(18%) 등을 리스크로 꼽았다. 알렉산더 밴트 가트너그룹 리서치책임자는 “재무적 안정성을 추구해야 하는 CFO들의 입장에서 미지의 영역인 비트코인과 가상자산시장에 투기적으로 뛰어들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며 “기업들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바뀌는 아주 초기 단계”라고 평가했다. ◇‘자산운용 공룡’ 블랙록도 비트코인 투자에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월가 큰 손’ 블랙록이 비트코인 투자에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다.릭 라이더 블랙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나와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부채가 증가하는 가정 하에 가치 저장소를 찾고 있다”며 “우리는 비트코인에 조금 발을 담그기 시작했다”고 밝혔다.블랙록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블랙록은 올해 1월 운용하는 두 개의 펀드에 비트코인 선물을 추가했다. 라이더 CIO는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은 너무 크지만 사람들은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곳을 계속 찾고 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이 금 혹은 은과 같은 안전자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라이더 CIO는 “다수의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에 담아야 할 정도로 기술과 규제가 진화했다는 게 내 생각”이라며 “그래서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내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최고 5만2254달러까지 치솟았다. 사상 최고치다.그는 “역사적으로 볼 때 우리는 현재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며 “갖고 있는 현금 중 일부를 가상자산으로 보유하는 건 타당해 보인다”고 강조했다.◇‘新 채권왕’도 “금보다는 비트코인 투자가 낫다”“비트코인이 부양 자산(Stimulus Asset)인 것 같다.”‘신(新)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18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금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는 재정 부양이 급증하고 국제유가가 치솟으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점증하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보다 비트코인이 더 나은 투자처라는 뜻이다.건들락 CEO는 “나는 장기적으로 볼 때 달러화 약세론자이고 금 강세론자”라면서도 “최근 6개월 이상 두 자산 모두 중립 의견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깔때기에 물을 마구 부으면 넘치기 마련”이라며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언급한 뒤 비트코인을 투자 대상으로 지목했다. 인플레이션 국면을 점치며 금보다 비트코인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비트코인이 금과 견줄 만한 ‘디지털 안전자산’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앞서 지난달 건들락 CEO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웹캐스트에서 “인플레이션이 게임체인저로 등장할 것”이라고 했다. ◇“비트코인에 중립적”…빌 게이츠도 비관론 접어“개인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해서 중립적인 관점(neutral view)을 가지고 있습니다.”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인 빌 게이츠가 과거 비트코인을 비난하던 부정적인 입장을 접었다. 빌 게이츠는 1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비트코인을 팔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며 이 같이 밝혔다. 과거 빌 게이츠는 비트코인에 대해 맹비난하며 부정적 입장을 여과없이 드러낸 바 있다. 지난 2018년 당시 그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처럼 어떤 것도 생산하지 못하는 자산의 가격이 오르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며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는 완벽하게 바보이론에 부합한다”고 비난한 바 있다.그러나 이날 인터뷰에 그는 “화폐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통해 거래비용을 낮추는 것은, 특히 게이츠재단이 활동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서는 더 중요한 것임을 알고 있다”면서도 “우리는 (가상자산이 가지는) 익명성을 보호하기보다는 투명성을 더 높이는 방향으로 가면서도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매니아 층이 주도하면서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앞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비트코인 랠리 예견’ 전문가 “올해 4~5배 더 뛴다”지난 2018년 말에 “2020년 하반기부터 비트코인이 상승랠리가 시작되며 2021년 12월에 가격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예견했던 가상자산 전문가가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안에 지금보다 4~5배 더 뛸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을 내놨다.중국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인 BTCC를 설립했던 바비 리 밸렛 최고경영자(CEO)가 이 같이 전망했다. 2018년 12월에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트윗을 통해 “다음 번 비트코인 상승랠리는 2020년 후반에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2021년 초에도 상승세가 이어진 뒤 그 해 12월에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점친 바 있다. 실제 작년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비트코인 랠리를 정확히 예견한 셈.향후 비트코인 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적어도 지금보다 4~5배는 더 오를 것”이라며 연내 비트코인 가격이 20만~25만달러까지 갈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5만2000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다만 이는 2018년 말에 내놓은 전망치인 33만3000달러보다는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된 것이다. 리 CEO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은 주로 테슬라와 같은 기업과 기관투자가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는 소식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며 “이런 가운데 많은 투자자들이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테슬라를 보면서 모든 상장기업이나 비상장기업 이사회 멤버들은 테슬라와 같은 투자를 검토할 것”이라고 점쳤다.특히 그는 테슬라 외에도 일런 머스크가 소유하고 있는 비상장회사인 스페이스X도 비트코인 투자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브렛 존슨 스페이스X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최근에 보유 현금으로 비트코인에 투자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웹 컨퍼런스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트코인이 불편한 연준 “결국 상승랠리 끝난다”비트코인이 5만5000달러까지 넘어서며 역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1조달러 시대를 열었지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고위 관료들은 비트코인 상승랠리에 대해 여전히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뉴욕타임즈(NYT)와의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는 비트코인 가격이 지금처럼 계속 뛰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정도”라며 “이런 계속된 상승랠리는 결국 끝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젠그렌 총재는 “그럼에도 전 세계 어디에서도 비트코인이 장기간 사용될 수 있는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결국 각국 중앙은행이 (비트코인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앞으로 많은 중앙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발행하는 디지털화폐를 내놓을 것”이라며 “이처럼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지하경제 외에는 비트코인을 사용해야 할 이유가 많지 않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비트코인 가격은 하락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점쳤다. 아울러 그는 “보스턴 연은은 미국에서의 디지털화폐 발행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중국과 스웨덴 중앙은행도 디지털화폐에 대해 충분한 연구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 [김정남의 월가브리핑]'안전자산 비트코인' 가능할까…조금씩 바뀌는 시선들
- <미국 뉴욕 현지에서 월가의 핫한 시선을 전해드립니다. 월가브리핑이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의 맥을 짚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지금으로부터 3년여 전인 2017년 하반기로 기억합니다. 주변 지인들 사이에서 갑자기 비트코인 열풍이 불었습니다. 누구는 수천만원을 벌어 새 외제차를 샀다느니, 누구는 더 오를 테니 기다겠다느니 하는 얘기들이 떠돌았습니다. 2017년 2월만 해도 1개당 1000달러가 채 안 됐던 비트코인값은 그해 1만7000달러에 육박했습니다. 그러더니 2018년 2월 8000달러대로 거의 반토막 났습니다. 버텼던 이들은 돈을 잃었다며 자책하던 기억이 나네요. 말 그대로 도박판, 투기판이었습니다.비트코인이 다시 뜨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8일 오후 3시(현지시간) 현재 비트코인 값은 5만1774달러입니다. 최근 24시간 내 5만2534달러까지 올랐습니다. 2009년 처음 모습을 드러낸 이후 단연 역대 최고치입니다.비트코인은 최근 매우 중요한 질문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과연 안전자산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관한 것입니다. 그 답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의 추가 상승이 가능할지, 2017년의 전철을 밟을지 정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요즘 월가를 달구고 있는 최대 화두 중 하나입니다.①요즘 비트코인 가격은 왜 오르나비트코인은 디지털 단위인 비트(bit)와 동전을 뜻하는 코인(coin)을 합친 용어입니다. 가명의 프로그래머 나카모토 사토시가 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 기존 법정화폐(legal tender)를 대신할 새로운 화폐를 만들겠다는 발상으로 2009년 개발했습니다. 가치가 안정적인 화폐를 지향했으나, 이후 10년은 그와 거리가 멀었지요.분위기가 달라진 건 최근 여러 상황들이 맞물렸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천문학적 돈 풀기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와중에 △주요 기관투자자들과 기업들이 인플레이션 헤지 목적으로 비트코인 시장에 뛰어들었고 △이에 따라 안전자산 특유의 믿음과 신뢰 화두가 비트코인을 둘러싸고 부상했으며 △그간 잘 몰랐던 비트코인만 갖고 있는 안전자산으로서 본래의 특성이 떠오르는 과정에서입니다. 지금 비트코인값이 5만달러 이상 폭등한 건 이와 직결돼 있습니다.(출처=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CEO 트위터 제공)②기관·기업은 왜 비트코인을 사나하나씩 뜯어보겠습니다. 먼저 인플레이션 우려입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에 따르면 이번달 1일 기준 광의통화(M2) 규모는 19조4149억달러입니다. 팬데믹 직전인 지난해 2월24일(15조4468억달러)과 비교해 1년도 안 돼 25.69% 폭증했습니다. 달러화가 이렇게 단기간 많이 공급된 건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잘 관리할 수 있을지 없을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 겁니다. (연준은 이번에 인플레이션이 나타나지 않도록 관리하는데 조직의 사활을 걸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다만 연준이 무슨 생각을 하든 현금을 가진 개인과 기업이 달러화 가치 하락을 우려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딱 이 시점에 깜짝 놀랄 뉴스들이 쏟아졌습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월가 큰 손’ 블랙록이 비트코인 투자에 뛰어들었습니다. 릭 라이더 블랙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나와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는 가정 하에 가치저장소를 찾고 있다”며 안전자산으로서 비트코인 가능성을 주목했습니다. 블랙록이 움직였다는 건 매우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신(新)채권왕’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의미심장한 글을 올렸습니다. “깔때기에 물을 마구 부으면 넘치기 마련”이라며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언급한 뒤 비트코인을 투자 대상으로 지목한 겁니다. 그는 “금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도 했습니다. 건들락 CEO는 올해 초만 해도 “비트코인은 거품”이라고 했던 인사입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비트코인을 보는 건들락 CEO의 눈이 바뀌었습니다. 월가에서 핫한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캐시 우드 CEO는 개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을 주목했습니다. 그는 “겐슬러 위원장은 MIT 교수 시절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에 대해 강의했다”며 “기술과 가치평가를 이해한다”고 했습니다. SEC는 비트코인 규제의 주무 당국입니다. 기관투자자와 함께 기업도 가세했습니다. 가장 주목 받은 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이지요. 특히 관심이 모아지는 건 독보적인 안전자산인 금과의 비교입니다. 공교롭게도 금값은 최근 하락세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본격적으로 뜬 지난해 11월부터입니다. 1만3000달러대에서 5만2000달러대까지 치솟았습니다. 이 기간 금 가격은 온스당 1900달러 중반대에서 1700달러 중반대로 내렸습니다.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을 찾고 있던 기업들이 금 대신 비트코인 투자를 늘렸다는 추정이 가능한 겁니다. 이는 월가 일각에서 실제 나오고 있는 얘기입니다. 월가 한 금융사 관계자는 “비트코인 데이터가 더 쌓여야 한다”면서도 “안전자산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계기로 볼 여지가 있다”고 했습니다.기관과 기업이 비트코인 투자에 나선 건 2017년 장세에서는 볼 수 없었던 풍경입니다. 3년여 전에는 철저히 개인이 주도한 시장이었고요. 그래서 가격 변동성이 너무 컸습니다. 이번에는 수요가 단단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18일 오후(현지시간) 기준 전세계 자산들의 시가총액 순위. (출처=컴퍼니스마켓캡 캡처)③비트코인은 안전자산 특성 갖고 있나안전자산에 반드시 필요한 ‘믿음과 신뢰’를 비트코인이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실체가 없다’는 비판이 아직 많고요. 기자도 그 생각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기업(주식)처럼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이 아닙니다. 원유, 철광석, 구리 등 원자재처럼 산업 수요가 있지도 않습니다. 말 그대로 비트코인은 실체가 없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당연하게 쓰고 있는 지폐 역시 본질은 그냥 종이에 불과하고요. 모두가 갖고 싶어 하는 다이아몬드는 그저 빛나는 돌덩이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의 믿음과 신뢰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대목이지요.그래서 비트코인이 갖고 있는 안전자산 특성이 주목 받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2100만개까지만 채굴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땅 속에 묻힌 금 혹은 은의 양에 한계가 있는 것과 똑같습니다. 무제한 양적완화를 통해 프린트할 수 있는 달러화보다 어쩌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없다는 측면에서 말이지요. 비트코인은 또 지폐와 달리 손상의 위험이 없고요. 인터넷만 되면 쓸 수 있어 편리합니다. 결제 가능성 측면에서 금보다 나을 수 있지요. 비트코인의 기술적 기반인 블록체인의 신뢰도가 커지고 있는 건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비트코인의 위상이 달라졌다는 중요한 방증이 시가총액 규모라고 봅니다. 이날 오후 현재 비트코인 시총은 9707억달러로 전세계 자산 중 8위입니다. 현재 독보적인 안전자산인 금(11조2680억달러)이 시총 1위에 올라 있고요. 그 뒤를 애플(2조1780억달러), 사우디 아람코(2조370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1조8390억달러), 아마존(1조6760억달러), 은(1조4790억달러), 알파벳(구글 모회사·1조4240억달러) 등이 잇고 있습니다. 특히 가격 안정성이 어떤 자산보다 높은 은과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기자는 최근 레딧(Reddit)을 중심으로 결집한 개인투자자들이 게임스톱(게임스탑·GME) 다음 타깃으로 은을 골랐다는 소식을 처음 들은 후 “그건 체급 자체가 다른데…”라고 홀로 되뇌었던 기억이 납니다. 미국 정부의 규제 가능성 등 이유가 다양한데, 그 중 하나는 은 시장의 규모는 게임스톱 종목 하나의 가치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크기 때문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개미들은 하루 만에 은 투기에 꼬리를 내렸지요. 비트코인 시총이 불어난 건 가볍게 다룰 사안이 아닙니다.비트코인 가격 추이. (출처=코인마켓캡 제공)④비트코인값 추가 상승 가능한가여기서부터가 진짜 중요한 물음일 수 있겠네요. 비트코인값은 추가 상승이 가능할까요. 간단히 말해 안전자산으로 지위가 올라간다면 더 오를 수 있다는 결론이 가능하겠지요. 금 혹은 은에 인플레이션 헤지용 투자를 했던 기업들이 그 대신 비트코인으로 조금씩 눈을 돌린다면 말이지요. 이번 <월가브리핑>은 최근 월가를 중심으로 나오는 비트코인에 대한 최신 논의입니다. 안전자산으로서 가능성이 조금씩 엿보인다는 정도로 정리가 가능할 것 같은데요. 한 가지 꼭 말하고 싶은 건 이게 비트코인값의 단기간 우상향을 뜻한다는 건 아닙니다. 비트코인이 세상에 나온 건 불과 12년입니다. 금과 은의 역사, 달러화의 역사와 동일선상에서 견줄 수 없습니다. 당연히 앞으로 무수한 난관들이 있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가격 변동성은 클 겁니다. 비트코인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하는 건 곧 언제 사야 하는가 하는 물음과 같은데, 사실 투자의 타이밍이라는 건 ‘신의 영역’이지요. 월가 내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곧 폭락할 것이라는 주장 역시 적지는 않습니다. ‘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사람들이 말도 안 되는(ridiculous) 가격에 비트코인을 사고 있다”고 했는데, 그 어떤 자산이든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는 건 기본적인 투자 원칙입니다. 루비니 교수의 얘기는 그 나름의 의미가 있습니다.또 한 가지가 있습니다. 기자의 앞선 여러 보도들을 보면 알 수 있을 텐데요. 비트코인이 기존 법화를 대체하는 건 아직 먼 얘기라는 건 이견이 많지 않습니다. 지금의 논의는 안전자산 중 하나로 올라설 수 있을지 여부인 것이지요.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최근 “비트코인은 화폐(real currency)가 아니다”고 했습니다. 중앙은행 차원에서 달러화, 유로화, 금처럼 준비자산으로 갖고 있지 않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기관과 기업이 비트코인을 사는 것과 중앙은행이 비트코인을 사는 건 전혀 다른 얘기입니다.‘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의 최근 트위터 글. (출처=누리엘 루비니 트위터 캡처)
- 미래의 화폐 vs 투기용 상품…비트코인 더 오를까?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제공)[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래의 화폐인가. 아니면 투기용 상품인가. 가상자산 시가총액 1위 비트코인 가격이 사상 처음 개당 5만달러를 돌파하면서, 비트코인의 미래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주목할 점은 옹호론자들이 부쩍 많아졌다는 점이다.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비트코인 투자 이후 모건스탠리, 뉴욕멜론은행(BNY멜론), 마스터카드 등 주요 금융사들까지 뛰어들면서다. 개인이 아니라 기관이 함께 움직이고 있는 만큼 2017년 말 폭락장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워낙 큰 만큼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동시에 나온다. 비트코인이 기존 화폐를 대체하는 건 너무 먼 얘기라는 회의론은 특히 더 많다.◇비트코인 첫 5만달러↑…시총 1조달러 육박17일 가상자산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3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개당 5만1369달러(약 5681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5만달러를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총은 9530억달러(약 1054조5000억원)까지 불어났다.비트코인은 디지털 단위인 비트(bit)와 동전을 뜻하는 코인(coin)을 합친 용어다. 가명의 프로그래머 나카모토 사토시가 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 기존 법정화폐(legal tender)를 대신할 새로운 화폐를 만들겠다는 발상으로 2009년 개발했다. 비트코인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탓에 미국이 본격 양적완화에 나선 이후 달러화 가치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더 주목 받았다.개발 의도와 달리 비트코인은 그동안 화폐와 거리가 멀었다. 비트코인 거래시장을 도박판에 빗댈 정도로 변동성이 큰 상품이어서다. 실제 불과 1년도 채 안 된 지난해 3월 중순만 해도 비트코인 가격은 지금의 10분의1 수준인 1개당 5000달러 남짓에 불과했다.이번 랠리의 시작은 테슬라가 출발 총성을 울렸다. 테슬라가 지난 8일 자사의 전기차 결제에 비트코인을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전하면서 4만달러를 밑돌던 가격이 단번에 4만달러 중후반대로 뛰어오랐다. 당시만 해도 테슬라 효과에 따른 일시 폭등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테슬라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의 미국 내 팬덤은 상상을 초월한다.그런데 테슬라 이후 굴지의 기업들이 잇따라 뛰어들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라즈 다모다란 마스터카드 부사장은 테슬라의 발표 직후인 11일 블로그를 통해 “올해 안에 가상자산 결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경쟁업체인 비자는 이미 도입 계획을 밝힌 상태다. 같은 날 트위터는 비트코인 결제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 이후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인 BNY멜론이 올해 자산운용사 고객을 위해 가상자산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고,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모건스탠리가 비트코인 투자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장 강력한 뉴욕시장 후보로 꼽히는 앤드루 양은 “뉴욕시를 글로벌 비트코인 허브로 만들겠다”고 했고, 캐나다 당국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처음 승인했다.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4만달러 후반대를 유지하며 탄탄한 수요를 확인했다.기업용 소프트웨어업체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이날 비트코인 매수를 위해 6억달러 규모 전환사채 발행 계획을 전했다. 마이클 세일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말 머스크와 공개적으로 대화하면서 비트코인 매수를 독려해 화제를 모았다. 그는 비트코인 ‘얼리 어댑터’라고 CNBC는 전했다. 상황이 이렇자 비트코인 가격 안정성이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다는 관측이 커졌다. 2017년 말 2만달러 가까이 폭등했다가 몇 달 만에 3000달러대까지 폭락했던 전례를 밟지 않을 것이라는 기류다. 세일러 CEO는 “비트코인은 3년 전보다 훨씬 안정적인 자산이 됐다”고 했다. ◇‘닥터둠’ 루비니 “지금 가격, 말이 안 된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현재 강세장을 떠받치고 있는 주요 요인인 법정화폐 대체 가능성, 즉 비트코인을 돈 대신 쓰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기 때문이다.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비트코인은 화폐(real currency)가 아니다”며 “ECB는 그걸 사지도 보유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또 돈세탁 가능성을 들어 비트코인에 대한 추가 규제를 촉구했다. 비트코인은 특유의 익명성 때문에 실제 돈세탁 등 불법 거래에 악용된 전례가 있다. 가상자산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지난해 가상자산을 통한 불법 거래는 100억달러(약 11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제임스 불러드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CNBC에 나와 “비트코인이 오르든 내리든 달러화 경제가 이어질 것이라는 사실에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말도 안 되는(ridiculous) 가격에 비트코인을 사고 있다”며 “그들은 분명 손실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다수 원자재들, 심지어 금조차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지만 비트코인은 거의 없다”며 “또 채권 이자 혹은 주식 배당 같은 안정적인 수입마저 없다”고 했다. 이날 비트코인 투자 소식을 알린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7.67% 빠졌다.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마냥 장밋빛으로 보지는 않고 있다는 뜻이다.CNBC에 따르면 도이체방크가 진행한 최근 설문조사에서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금융시장의 가장 심각한 버블로 꼽았다. 월가의 한 금융사 관계자는 “요즘 보이는 시세 자체가 비트코인의 단기 변동성이 얼마나 큰 지 보여준다”고 말했다.